25~29세 인구, 4년 뒤부터 급감… 일자리 경쟁 완화 전망

입력 2017-12-19 11:0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2016~2026 중장기 인력수급전망’에 따르면 2015년부터 증가한 25~29세 청년인구는 2021년부터 줄어들 것으로 관측됐다. 양질의 일자리가 제한된 상황에서 가장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하는 20대 중후반 청년 인구가 2015년부터 증가하면서 일자리 경쟁은 더욱 심화됐다. 25~29세 생산가능인구는 2014년 328만 명에서 2017년 343만 명으로 15만 명 증가했다.

4년 뒤인 2021년 이후 20대 청년인구가 급격하게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인구변화 측면에서 2030년까지 10년간 158만 명이 감소해 일자리 경쟁이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한정된 양질의 일자리와 15세 이상 인구가 2033년까지 증가할 것으로 보여 청년층 고용문제가 해소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예측했다.

신규인력 수급차를 전망해보니 학령인구 감소로 공급인력이 크게 감소하면서 향후 10년간 신규인력 수요가 공급을 초과해 신규인력이 부족할 수도 있다고 예상됐다. 고용부 관계자는 “신규인력이 부족한 상황은 비경제활동인구의 노동시장 참여 등으로 해소될 수 있다”고 밝혔다.

학력별로는 고졸자에 대한 초과수요가 113만 명으로 가장 크고, 대졸자도 초과수요(10만 명)가 나타난 반면, 전문대·대학원은 각각 55만 명·30만 명의 초과공급이 예상된다. 대학은 청년인구가 줄어들어 졸업생은 감소하는 반면, 구인인력 수요는 공학계열을 중심으로 19만 명의 초과 수요가 발생할 전망이다. 반면 전문대는 기술발전 등으로 공급보다 수요가 더 크게 감소하여 인문·사회, 자연 계열을 중심으로 초과공급이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기술발전과 자동화 등으로 고학력 인력수요가 증가하고 고용구조 양극화 등 인력수급에 다양한 변화가 발생할 것으로 관측됐다.

고용부 관계자는 “중간 수준의 숙련 일자리는 자동화 등으로 비중이 감소하면서 일자리 양극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고용부는 이런 전망을 토대로 △저출산·고령화에 대응한 효율적 인력활용 모색 △학령인구 감소 등 환경 변화에 따른 교육개혁 지속 추진 △산업·노동시장 구조 변화에 대응한 사회안전망 등 강화 등을 정책적 시사점으로 제시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