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한·중 정상회담…미래지향적 경제협력 이끈다

입력 2017-12-14 12:3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文 대통령 3대 원칙과 8대 협력방안 제시…사드 문제는 ‘글쎄’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1월 11일 오후(현지시간) 베트남 다낭 크라운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정상회담에서 반갑게 미소지으며 악수하고 있다. (다낭(베트남)/연합뉴스)
중국 국빈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은 14일 오후 시진핑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한다.

이번 정상회담은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문제로 경색됐던 한·중 경제관계를 완전히 복원하고자 우리 측 요청으로 서둘러 이뤄진 것으로 미래지향적 관계를 모색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북핵 문제와 관련해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의 “북한과 전제조건 없이 대화할 수 있다”는 발언에 대해 두 정상 간 어떤 대화를 나눌지도 관전포인트다.

사드 문제와 관련해 양국 간 10월 31일 봉인합의를 했지만 중국 측은 기회가 있을 때마다 3불(사드 추가배치 불가·미국 MD체제 불참·한미일 군사동맹 불가)을 언급하고 있어 시 주석이 정상회담에서 어느 수위로 언급할지 최대 관심사다.

북핵 문제와 관련해서는 양국 간 입장차가 서로 평행선을 달리고 있고 미국과 중국 간 긴밀히 얘기가 오가고 있어 이날 회담에서는 기존 북한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라는 원론적 수준으로 합의할 가능성이 크다.

경제 관계 복원에 대해서는 두 정상 간 미래지향적 협력관계로 발전시킬 것으로 보인다. 이번 문 대통령의 국빈방문에 대해 의전상 중국의 홀대론이 나오고 있지만 경제문제와 관련해 중국이 신경 쓰는 눈치다. 전날 베이징에서 열린 한·중 비즈니스포럼에 장가오리 중국 국무원 상무부총리가 깜짝 방문해 “양국 정상은 중·한 관계의 발전을 위해 포괄적 협력 방안을 설계해 줄 것으로 믿는다”고 밝힌 바 있다.

이날 포럼에서 문 대통령은 경제협력의 제도적 기반강화, 양국의 경제 전략에 입각한 미래지향적 협력, 양국 국민 간 우호적 정서를 통한 사람중심 협력 등 경제협력을 위한 3대 원칙과 8대 협력 방안을 제시했다. 이와 관련해 두 정상 간 구체적인 합의가 도출될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이 제시한 8대 협력방안은 구체적으로 △안정적 경제협력을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 △교역분야 다양화와 디지털무역으로 양국교역의 질적 성장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미래신산업 협력의 강화 △벤처 및 창업분야 협력 확대 △에너지 분야 협력 강화 △환경 분야 협력 강화 △인프라 산업에 대한 제3국 공동 진출 △사람중심의 민간교류협력 활성화 등이다.

한편 이번 정상회담 일정은 공식환영식, 확대·소규모 정상회담, 양해각서 서명식, 국빈만찬 순으로 진행된다. 또 한중 수교 25주년을 기념한 문화교류의 밤 행사도 열린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