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지수의 급등은 정부 정책 기대감과, 이에 따른 코스닥시장 자금 유입이 직접적인 계기가 됐다. 11월 22일 기획재정부는 ‘혁신창업 생태계 조성 방안’을 발표했고, 12월 중에는 코스닥 활성화 방안도 발표할 예정이다. 이들 정책은 모두 혁신기업을 육성하겠다는 것이고, 이를 위해서는 혁신기업의 자금조달 창구 기능을 하는 코스닥시장이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당연히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해 봐야겠지만, 이러한 정책은 통상 코스닥시장에 호재다. 물론 국내외 시중 유동성 환경에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예상하는 가운데, 정책 발표는 코스닥시장으로의 자금 이동을 촉진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코스닥 기업들의 실적 개선이 예상되는 점도 지수 상승의 주된 배경이 됐다. 시장 컨센서스에 따르면 코스닥 상장기업들의 내년 영업이익은 3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내년 코스피 상장기업의 영업이익 증가율이 약 15%로 예상되는 점을 고려하면, 코스닥시장의 이익 증가 모멘텀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번에 코스닥지수가 빠른 속도로 과도하게 상승했다는 주장도 제기되는데, 가장 주된 근거로 제시되는 것이 주가 상승의 쏠림 현상이다. 코스닥지수의 상승을 주로 바이오 업종이 견인했다는 지적이다. 또 실적보다는 향후 신약 개발 가능성만으로도 바이오 기업들의 주가가 큰 폭으로 상승했다는 것이다. 실적이 뒷받침되지 않으면서 급등한 종목의 경우, 주가가 큰 폭으로 하락한 경우가 많았다는 점에서 리스크 관리가 필요해 보인다. 실적 개선이 확실하게 예상되는 기업들을 중심으로 주가 상승이 크게 나타났다면 주가 상승이 과도했다고 보기 어려웠을 것이다.
이번 코스닥지수 상승이 정부 정책을 계기로 나타났고, 향후 현 정부가 혁신기업 육성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코스닥이 활성화할 가능성도 커졌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정책 발표만으로 주가가 급등하는 것은 국가 성장 발판을 마련하겠다는 정부 정책의 방향과 전적으로 일치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중장기적으로 추진되는 정책이 주가 급등락으로 이어지기보다는 견조한 주가 상승으로 나타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과거 선거 등 정치적 이벤트를 앞두고 테마주가 급등락하면서 투자자에게 피해를 주었던 사례와도 유사해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금융의 역할은 실물경제의 성장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또한, 실물경제의 성장 없이는 금융시장의 발전에도 한계가 있다. 따라서 실물경제의 성장이 지속할 수 있게 되면 이를 반영하는 주가도 상승 추세를 보일 것이다. 실물경제 성장이 뒷받침되지 않는 주가 상승은 버블일 가능성이 높다.
이를 코스닥시장과 연계해 생각해 보자. 정부 정책이 추진되고, 이로 인해 코스닥 기업이 성장하거나 성장 가능성이 커지게 되면 코스닥지수가 탄탄하게 상승할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정책이 더욱 구조적인 방향으로 수립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정책의 목표가 혁신기업의 지원을 통해 경기를 부양하는 방향으로 설정될 필요가 있다.
특히 혁신기업의 지원을 넘어 더 많은 혁신기업이 등장할 수 있도록 중장기적으로 산업구조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정책 도출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더불어 이들 정책은 중장기적으로 꾸준히 추진될 수 있도록 지속성을 갖고 있어야 한다. 금융의 관점에서는 현재의 은행 중심이 아니라, 혁신기업을 보다 실제적이고 적극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형태의 금융시스템이 요구된다.
혁신기업을 키우려는 정책적 의지는 그 어느 때보다 강해 보인다. 이러한 상황에서 코스닥시장의 버블 논란이 해소되기 위해서는 실물경제를 키워줄 산업 정책과 이를 적극적으로 지원할 다각화한 금융시스템이 무엇보다 필요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