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국감] 최근 5년간 항공기 지연·결항 7342건

입력 2017-10-20 10:3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이학재 “정비 결함, 항공기 운항 안전과 직결돼 승객 생명 위협할 수도”

(이학재 의원실)
최근 5년간 정비 미흡으로 인한 항공기 지연·결항 건수가 총 7342건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20일 바른정당 이학재 의원(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이 인천국제공항공사와 한국공항공사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인천국제공항과 김포국제공항을 비롯한 국내 15개 공항에서 정비 미흡으로 인해 발생한 항공기 지연 및 결항 건수가 총 7342건이다. 연도별로 보면 △2013년 1232건 △2014년 1484건 △2015년 1637건 △2016년 1694건이다. 올해는 9월 기준 1295건이 발생했다. 정비 미흡으로 인한 항공기 지연‧결항건수가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공항별로는 인천국제공항에서 총 3600건(지연 3362건·결항 238건)이 발생했다. 김포국제공항은 1475건(지연 1073건·결항 402건), 제주국제공항은 1256건(지연 915건·결항 341건), 김해국제공항이 711건(지연 553건·결항 158건) 순이었다. 노선별로는 국내선이 정비지연 2347건, 정비결항 832건으로 총 3179건 발생했다. 국제선에서는 정비지연 3821건, 정비결항 342건 등 총 4163건이 발생했다.

항공사별로는 운용기재가 많은 아시아나항공과 대한항공이 각각 1510건과 1301건으로 항공기 지연‧결항 건수가 1000회 이상 발생했다. 이어 저가항공사(LCC)인 제주항공이 672회, 에어부산 649회, 이스타항공 454회 순으로 나타났다.

정비 미흡으로 인한 항공기 지연‧결항 건수가 가장 많은 인천국제공항의 경우 대한항공과 아시아나 등 대형 국적항공사(FSC)는 인천공항 내 자체 정비 시설을 갖추고 있다. 하지만 외국 항공사나 저가항공사(LCC)를 위한 항공정비 시설은 소형여객기 2대 정도를 수용할 수 있는 규모의 정비고가 올해 10월 중 운영될 예정이다. 인천공항을 이용하는 LCC가 필요한 정비를 충분히 받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인천국제공항 내에 항공정비 시설을 갖추고 있는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경우에도 항공정비를 위한 해외 외주 비용이 2014년 기준 약 6400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의원은 “인천국제공항에서 정비 미흡이나 결함으로 인해 항공기가 지연‧결항되는 건수가 매년 늘고 있다”면서 “정비 결함은 항공기 운항 안전과 직결돼 승객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만큼 항공안전과 인천공항의 허브공항 경쟁력 확보를 위해 항공정비단지를 조속히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