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일 신흥지역연구 통합학술회의 개최

▲사진=‘신흥지역연구 통합학술회의’ 단체사진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원장 현정택)은 10월 19~20일 이틀간 서울 JW메리어트 호텔에서 15개 지역연구학회와 공동으로 제4회 ‘2017 KIEP 신흥지역연구 통합학술회의(2017 KIEP and Associations of Area Studies Conference)’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보호주의의 재등장과 신흥국의 대응'이라는 주제로 진행하는 이번 통합학술회의에서는 KIEP와 국내외 지역 전문가들이 함께 모여 최근 전 세계에 걸쳐 확산되고 있는 자국보호주의에 대한 신흥국의 대응전략을 점검하고, 우리나라가 나아가야 할 전략적 방향을 모색할 계획이다.

▲사진=개회사하는 현정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원장

개회사에서 현정택 KIEP 원장은 "2016~2017년 초의 보호주의 조치가 세계 평균적으로는 금융위기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으나, 가장 발달된 선진국에서는 2012년 이래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하며, "자국보호주의는 글로벌 경제뿐만 아니라 자국의 기업과 소비자에게 궁극적으로 해를 끼치는 정책임을 상기시키고, 일부 국가의 보호주의적 경향에 대해 신흥국을 중심으로 공동의 대응체계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기조연설에서 요노프 아가(Yonov Frederick Agah) WTO 사무차장은 "현재 상호의존성이 심화된 글로벌 가치사슬 속에서 모든 WTO 회원국들이 상호이익을 존중하며 보완하는 관계로 발전해야 한다"며, "발전과정에서 WTO 자유무역체제의 가장 큰 성공사례라고 평가 받는 한국을 비롯한 신흥국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전했다.

축사를 통해 강성천 산업통상자원부 통상차관보는 "전 세계 보호주의적 경향 속에서 한국과 신흥국이 자유무역과 다자무역체제에 대한 동의를 중심으로 포괄적 경제협력을 강화하는 한편, 대내적으로 자유무역의 혜택이 모두에게 돌아갈 수 있는 포용적 통상정책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 인도, 러시아, 미국, 베트남 등 세계 주요국의 싱크탱크 대표들과 함께 전 세계 보호주의 확산 현상과 이에 대한 각국의 대응전략에 대해 논의하는 특별세션이 진행되었다. 20일 오전에는 해외학자 초청 세션에서는 중국, 인도, 베트남, 멕시코, 사우디아라비아 등 각 대륙별 주요국의 해외전문가들이 보호주의 등장에 대한 지역별 해법과 전망에 대해 심층적인 논의를 개진하고 한국과 협력방안을 모색하는 논의가 진행 될 예정이다.

또한, 양일 점심 오찬 이후에는 △국제지역학회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중국지역학회 △한국동남아학회 △한국동북아경제학회 △한국라틴아메리카학회 △한국몽골학회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한국아프리카학회 △한국유라시아학회 △한국인도사회연구학회 △한국중동학회 △한국포르투갈•브라질학회 △한중사회과학학회 △현대중국학회 15개 주요 신흥지역 연구학회가 각 지역별로 최근 현안을 분석하고, 우리나라와 파트너십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를 선보이는 자리도 준비되어 있다.

학술회의 프로그램 및 세부사항은 KIEP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통해 확인할 수 있고, KIEP 신흥지역 관련 연구정보는 연구원 공식 홈페이지와 신흥지역정보 종합지식포탈 EMERiCs, 중국전문가포럼 CSF 지역연구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