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의 행정구역별 지방행정과 별개로 전국을 인구 500만명 규모의 5대 광역경제권과 2대 특별광역권으로 묶는 '5+2 광역경제권’ 개발계획이 추진된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24일 발표한 '창조적 광역발전 방안'에 따르면, 전국은 5대 광역경제권(수도권·충청권·호남권·대구경북권·동남권)과 2대 특별광역경제권(강원권·제주특별자치도)으로 설정된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박형준 기획조정분과위원은 24일 브리핑을 통해 "지역의 인구규모, 인프라 및 산업집적도, 역사문화적 특수성과 지역정서 등을 고려, 전국을 5+2광역경제권으로 설정했다"고 밝혔다.
박 위원은 "창조적 광역발전 전략은 기존 시·도 행정구역을 과감히 초월해 광역경제권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함으로써 지역의 지속적 경제성장과 지역간의 공동번영을 보장하고 실질적 지방분권이 보장되는 체제를 조속히 뿌리내리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밝힌 광역경제권 발전 6대 전략은 ▲광역경제권 연계사업의 활성화 ▲시장친화적 지역경제활성화 촉진 ▲광역경제권 기간 인프라 확충 ▲낙후지역, 신발전지대로의 전환 ▲수도권과 지방의 공동발전체제 형성 ▲협력·통합·분권적 광역경제권 제도의 실천이다.
인수위는 광역경제권 추진을 위해 대통령 직속으로 광역경제권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광역경제권활성화 추진단을 설치되고, ‘광역경제권 특별법’(가칭)과 ‘특별회계’도 운영할 방침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