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쏭語 달쏭思] 야(野)하다

입력 2017-09-11 10:5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김병기 전북대 중문과 교수

옷이 적잖이 선정적이거나 표정이나 몸짓에 성적 충동을 자극하는 매력이 있을 때, 혹은 그림이나 음악이 섹시(sexy)한 분위기를 풍길 때 흔히 ‘야하다’라고 표현한다. 그런데 ‘야하다’는 말은 본래 성적 자극이 선정적인 상황에서만 사용하는 말이 아니다. 문화적인 것이 아닌 모든 경우에 다 사용하는 말이었다.

문화(文化)의 ‘文’이 가진 본래의 뜻은 ‘무늬’, 즉 ‘꾸밈’이다. 그리고 ‘化’는 ‘화할 화’라고 훈독하는 글자로 ‘변화(變化)’, 즉 A에서 B의 상태로 바뀌는 현상을 나타내는 글자이다. 따라서 文化는 전에는 ‘文’, 즉 무늬나 꾸밈이 아니었던 것이 언제부터인가 무늬로 꾸며져 ‘무늬화한’ 상태를 이르는 말이다. 야생에 인공을 가한 흔적이 바로 문화인 것이다. 따라서 문화의 반대말은 야생(野生)이다.

야생은 누적이 없다. 누적이 없기 때문에 천년 전의 모습이나 현재의 모습이나 달라진 게 없이 본바탕 그대로이다. 그래서 野는 곧 ‘질(質:바탕 질)’이다. 이에 반해, 인류의 손때, 즉 인공(人工)은 반드시 무늬와 꾸밈 등의 흔적을 남기고 그 흔적은 누적된다. 그 흔적의 누적이 바로 역사(歷史)이다. 야생의 자연에는 시간만 존재할 뿐 역사는 없다. 역사는 인류에게만 존재한다.

따라서 ‘野’의 반대는 ‘史’이기도 하다. 그래서 ‘史野’라는 말이 생겼고, 공자는 이에 대해 “문(文:무늬, 꾸밈)이 질(質:자연, 바탕)보다 많으면 사(史:역사, 문화)이고, 질이 문보다 많으면 야(野:야생, 자연)이다.[文勝質則史 質勝文則野]”라고 했다. 그리고 文과 質이 적절히 조화를 이룬 사람을 일러 ‘군자(君子)’라고 했다.[文質彬彬 然後君子]

‘야(野)하다’는 말은 단순히 성적 선정성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문화가 아닌 야생의 질박함, 즉 사람의 손을 타지 않은 원색적인 것은 다 야한 것이다. 섹시함은 인류가 지닌 야성의 한 부분일 뿐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