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태, 文정부 공영방송 개혁 비판…“방송 장악하려한 정권 모두 불행하게 끝나”

입력 2017-08-24 13:4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자유한국당 김성태 의원(연합뉴스)

자유한국당 김성태 의원이 24일 “노사문제에서 비롯된 것은 노사문제로 풀어야 되는 것이고 사내 구성원들 간의 갈등문제는 그 내에서 풀어야 한다”며 정부의 공영방송 개혁 시도를 비판했다.

김 의원은 이날 tbs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대통령까지 나서서 정부가 방송에 적극적으로 개입할 것처럼 말하고, 방송통신위원장은 법적 권한도 사실상 없으면서 사장해임을 언급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22일 문재인 대통령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방송통신위원회의 업무 보고를 받으며 “공영방송의 신뢰도가 떨어졌다. 근본적인 반성이 필요하다”고 공영방송 정상화를 강조한 바 있다. 앞서 이효성 방통위원장은 방통위가 MBC 대주주인 방송문화진흥회 이사진에 책임을 물을 수 있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언론을 길들이고 방송을 장악하는 그런 시도는 역대 어느 정권마다 있었다”며 “하지만 과거 그 정권들 말로들은 모두 불행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굳이 언론의 힘을 비정상적으로 빌려서 국정 운영할 그럴 계제도 아니지 않나. 과거 MB정부때도 정연주 KBS사장을 인위적으로 교체한 모양새가 좋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은 내부 구성원들이 직접 사장 교체를 요구했다는 측면에서 과거와 다르지 않냐는 질문에는 “너무 정권이 초기에 개입하고 있다. 노조의 정당한 주장도 정권하고 결탁한 목소리가 아니냐는 의아심이 생길 수 있다”고 답했다.

이에 대해 더불어민주당 안민석 의원은 프랑스 소설가 알베르 까뮈를 인용해 “‘어제의 범죄를 용서하는 것은 내일의 범죄에 용기를 주는 것이다’라는 말로 입장을 대신하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야당은 대안이나 별 하는 역할 없이 남을 혹독하게 비판하는 정치로는 성공할 수 없을 것”이라고 일침을 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