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용품 ‘안전마크’ 부착 준수율 턱없이 낮아

입력 2008-01-17 13:0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어린이·유아용품 31%가 미부착…식탁·주방용품은 ‘전무’ 상태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어린이·유아·생활용품 가운데 상당수가 KPS마크를 부착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소비자들이 구매 시 안전한 제품을 선택하는데 혼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용품, 유아용 섬유제품, 물휴지 등 어린이·유아용품 1280개 가운데 30.9%인 395개 제품이 안전마크를 부착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학용품은 470개 제품 중 34.9%인 164개가 안전마크를 부착하지 않은 채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광택제, 탈취제, 표백제 등 생활용품 9개 품목 1221개 가운데 319개(26.1%)도 안전마크를 붙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식탁 및 주방용품은 27개 제품 가운데 26개에 안전마크가 없었다.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은 40명의 소비자들로 구성된 제품안전감시단과 함께 지난해 4월부터 연말까지 8개월 동안 전국에 유통되는 법적으로 KPS 마크를 표시, 판매해야 하는 65개 품목의 제품을 대상으로 안전표시사항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안전마크를 표시하지 않은 제품들은 지난해 3월 24일 이후 신규로 안전인증대상품목으로 추가된 제품으로서 제조자의 안전마크에 대한 인식부족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표원은 이들 안전마크 미부착 제품에 대해서는 행정지도 및 홍보를 통해 안전마크 부착을 유도해 나갈 방침이며, 당분간 소비자들은 제품구매시 안전마크를 확인하고 제품을 구매해 줄 것을 당부했다.

반면 지난 2006년부터 중점 관리해오고 있는 비비탄총, 운동용 안전모 등 어린이용품 6개 품목과, 가스라이터, 세정제, 방향제 등 생활용품 7개 품목은 안전마크 미부착 건수가 전년에 비해 각각 48% 포인트와 11% 포인트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 지속적인 모니터링의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기표원은 안전마크 미부착 제품을 생산하는 업체에 대해 시정을 권고하는 한편, 재래시장이나 문방구 등 불법·불량제품 유통가능성이 높은 소규모매장을 대상으로 집중 모니터링 활동을 더욱 강화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