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효진의 이슈通] BNK금융 지배구조의 민낯

입력 2017-08-16 09:5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BNK금융지주 회장 인선이 막바지에 다다랐다. 그동안 각종 논란으로 잡음이 끊이지 않았던 만큼 최종후보자 선정 이후에도 강한 후폭풍이 예상된다.

BNK금융은 지난 4월 성세환 회장이 주가 조작혐의로 구속된 이후 경영 공백이 이어지자 지난달 초 차기 회장을 뽑기로 하고 공모를 진행했다.

BNK금융 이사회는 이번 사태가 제왕적 지배구조에서 비롯된 문제로 보고 외부 공모를 통해 회장을 선출하기로 했다. 지주 회장이 최대 계열사인 부산은행장을 겸직하던 구조도 뜯어고치기로 했다.

출발은 좋았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소란해졌다. 이것이 과연 국내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드는 금융지주의 회장 인선 절차인지 의심이 들 정도다.

BNK금융 회장 인선을 둘러싼 일련의 과정을 지켜보면 최고경영자(CEO) 인사시스템이 과거로 후퇴한 느낌이다. 정부의 입맛대로 회장이 선출되는 무주공산(無主空山)이나 다름없던 시절로 돌아갔다.

이번 논란의 원인은 명확하다. 후진적인 지배구조와 느슨한 CEO 경영승계 프로그램 때문이다.

BNK금융은 2011년 설립된 BS금융이 후신이다. BNK금융은 6년 만에 부산은행, 경남은행, BNK투자증권 등 8개의 자회사와 3개의 손자회사를 거느린 자산 규모 106조 원이 넘는 대형 금융회사로 성장했다.

외형은 커졌지만 시스템이 따라가지 못했다.

성 회장의 경우 BNK금융 경영을 총괄하면서 이사회 의장, 이사회운영위원장, 임원후보추천위원을 겸직했다. 더불어 부산은행장으로서 임원후보추천위원회에 소속되는 등 마치 한 기업의 총수처럼 막강한 힘을 휘둘렀다.

이에 대한 견제는 미흡했다.

현재 BNK금융의 1대, 2대 주주인 국민연금, 롯데그룹은 경영에 관여하지 않고 있다. 주주들이 방관한 사이 BNK금융 지배구조는 회장에 대한 권력 쏠림 현상이 심화됐다. 사외이사들은 거수기 노릇만 했다.

CEO 승계프로그램이 제 기능을 못 한 점도 논란을 키웠다.

BNK금융 임추위는 특이사항이 있을 때만 열린다. 평소 임추위가 계열사 CEO 등 차기 회장 리스트를 만들어 관리하는 국내 주요 금융지주와 다르다.

이렇다 보니 BNK금융 차기 회장 후보 공모에 16명이 무더기로 몰리면서 과열 양상을 보였다. 박재경 BNK금융 회장 직무대행과 빈대인 부산은행장 직무대행은 차기 회장뿐만 아니라 부산은행장 공모에 동시에 지원하며 자리보전에 연연하는 듯한 모습까지 보였다. 1차 후보를 결정한 후에는 탈락자 중 한 명이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공정성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숏리스트’에는 외부 인사인 김지완 전 하나금융지주 부회장을 비롯해 박재경 BNK금융 회장 직무대행, 정민주 BNK금융경영연구소 대표 등 3명이 이름을 올렸다.

이번엔 ‘나이 제한’에 대한 갑론을박이 시작됐다.

김 전 부회장은 1946년생으로 올해 72세다. 노동조합 측은 다른 금융지주의 연령 규정으로는 탈락했을 고령인 김 전 부회장이 후보에 포함된 것은 전형적인 낙하산 인사라며 반발했다. 시위도 계획 중이다.

금융당국은 2011년 ‘신한사태’를 계기로 만 70세까지만 회장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권고한 금융지주사 지배구조 모범규준안을 만들었다. 신한금융, KB금융, 하나금융이 이를 준용하고 있지만 BNK금융은 강제성이 없다는 이유로 나이 제한을 내부 규정을 두지 않았다.

BNK금융은 성 회장 구속, 차기 회장 선임 과정에서 부끄러운 민낯을 드러냈다.

앞으로가 더 큰 문제다. 금융회사에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투명하고 올곧은 지배구조이다. 금융당국도 뒷짐만 지고 있어서는 안 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