웰빙 열풍으로 육류 및 어류 등 대체식품 소비 증가 때문
우리나라 국민 한 사람이 지난 한 해동안 쌀 한가마니(80kg)도 채 먹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통계청이 발표한 '2007 양곡년도 가구부문 1인당 쌀 소비량'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76.9㎏으로 전년대비 2.4%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같은 쌀 소비량의 감소는 ▲2002년 87.0㎏ ▲2003년 83.2㎏ ▲2004년 82.0㎏ ▲2005년 80.7㎏ ▲2006년 78.8㎏ ▲2007년 76.9㎏ 등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1인당 1일 쌀 소비량 역시 전년대비 2.4% 감소한 210.9g으로, 하루 평균 2공기 정도의 밥만 먹는 셈이다.
통계청은 이에 대해 "참살이(웰빙) 문화 확산과 맞벌이 부부 증가로 채소, 육류, 어류, 식빵, 등 쌀 대체 식품 소비가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1997~2006년 1인당 연간 식료품 소비량 변화를 살펴보면 육류는 10년동안 29.3㎏에서 33.6㎏으로, 과일류는 58.0㎏에서 62.2㎏으로, 채소류는 148.5㎏에서 154.0㎏으로 각각 늘어났다.
이외에도 우리나라 국민들이 밥 뿐만 아니라 어떤 것도 먹지 않고 끼니를 거르는 횟수는 한해 평균 17.6회로 집계됐다.
연령대별로는 20대가 한달 평균 가장 많은 3.7끼니를 건너뛰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반적으로 남자보다는 여자의 결식율이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