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패싱 우려 불식시킨 한·미·일 안보 최고책임자 첫 화상회의

입력 2017-08-04 07:2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北 핵·미사일 도발 국제사회 일치된 제재와 압박 노력 필요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이 3일 오전 더불어민주당 우원식 원내대표와 면담을 마친 뒤 원내대표실을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
한·미·일 안보 최고책임자가 3일 북한 핵·미사일 도발 관련 첫 화상회의를 갖고 유엔 안보리 결의 등을 통한 최대한의 압박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이번 화상회의로 그동안 정치권에서 제기됐던 ‘코리아 패싱’(한반도 문제에 대한 논의에서 한국이 배제되는 상황) 우려를 불식시키게 됐다. 특히 미국의 독자적 북한 선제 타격설 확산도 막을 수 있게 됐다.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은 이날 오후 9시부터 1시간 10분간 허버트 맥마스터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야치 쇼타로 일본 국가안전보장회의 사무국장과 화상회의를 갖고 북 핵·미사일 도발에 대한 3국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청와대는 3국 대통령 및 총리 안보담당 최고책임자가 화상회의를 통해 안보 현안을 한 자리에서 논의한 것은 처음 있는 일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회의에서 북한의 미사일 발사가 한반도와 동북아는 물론 전 세계의 평화와 안정에 심각한 도전과 위협이라는 인식을 재확인했다. 또 북한의 추가 도발을 억지하고자 유엔 안보리 결의 등을 통한 최대한의 압박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특히 3국 안보담당 책임자들은 올바른 조건하에서는 북한과 대화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북한을 대화로 유도하려면 한·미·일을 중심으로 한 국제사회의 일치된 제재와 압박 노력이 필요하다는데 의견을 같이했다.

이와 관련 정 실장은 “최대한의 압박과 제재의 궁극적 목표는 북한을 대화로 유도하려는 것이다”며 “한반도에서의 긴장이 불필요하게 고조되지 않도록 유의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 3국 안보책임자들은 향후에도 북한 핵, 미사일 문제 관련 3국 간 긴밀한 공조를 계속해 나가기로 했다고 청와대는 전했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