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금융부 차장
신한금융, KB금융, 하나금융, 우리은행이 올 상반기 거둔 순이익은 5조8786억 원으로 6조 원에 육박한다.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지난 6개월간 신한금융이 1조8891억 원의 순이익을 냈고, KB금융이 1조8602억 원을 벌어들였다. 이들 금융그룹은 각각 2001년과 2008년 지주사 설립 이후 최대 반기 실적을 새로 썼다. 우리은행과 하나금융도 각각 1조983억 원, 1조310억 원 등 1조 원이 넘는 순익을 기록하며 각각 2011년과 2015년 이후 최대 실적을 냈다.
국내 대표 금융회사들이 올 상반기 소위 ‘대박’을 친 주된 요인은 수익성 핵심 지표인 순이자마진(NIM)이 개선됐기 때문이다. 여기에 계열사 지분 인수, 충당금 환입 등 일회성 요인이 더해지며 축포를 터뜨렸다.
NIM이 개선됐다는 것은 은행이 돈을 빌려주고 받는 대출금리와 예금, 적금을 받는 대가로 지급하는 수신금리의 차이가 더 벌어졌다는 뜻이다.
대출금리는 금융채나 코픽스(COFIX)를 기준으로 은행들이 임의로 정한 가산금리를 더해 결정된다. 미국의 금리 인상 등으로 시장금리(기준금리)가 오르면 대출금리도 따라 오른다. 은행별로 차이는 있지만 보통 대출금리에서 기준금리와 가산금리 비율은 7대 3 정도이다.
수신금리는 시중에 발행되는 은행채 금리에 은행들이 약간의 마진을 붙여 고객에게 지급한다. 수개월째 대출금리가 우상향 곡선을 그릴 동안 수신금리는 제자리걸음을 했다. 가장 큰 이유는 은행의 풍부한 유동성 때문이다. 자금 사정이 넉넉하다 보니 굳이 수신금리를 올려 예금, 적금을 유치할 이유가 없는 것이다.
은행들이 예대마진율 증가에 힘입어 실적 잔치를 벌이자 금융당국은 차가운 시선을 보내고 있다. 가계 빚이 1400조 원에 이르는 상황에서 은행들만 이자 장사로 배를 불리고 있다는 지적이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이달 26일 취임 후 첫 기자간담회에서 “(금융 회사들) 수익의 원천이 온통 가계대출 분야, 주택담보대출에 치중했다는 건 상당히 문제가 있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은행 입장에서는 금융당국이 영업 방식까지 ‘감 놔라 배 놔라’ 하는 게 불만일 수 있다. 금융당국의 개입이 지나치면 또 다른 ‘관치(官治)’로 금융 시장이 얼룩질 수도 있다.
그러나 단기 성과만 좇는 은행들의 영업 관행은 분명히 사라져야 한다. 영업 방식의 변화는 금융 회사도 중요하게 여기는 부문이다. 비이자이익을 늘리는 게 앞날을 보장하는 확실한 방법이라는 데 이견이 없다.
담보나 보증에 의존하는 보신주의 영업 행태도 바꿔야 한다. 우수한 기술을 갖췄지만, 자금난에 시달리는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 우리 경제의 혈맥을 더욱 튼튼히 하는 데 기여해야 한다.
이자이익에 치중한 수익 구조는 결코 성장을 담보할 수 없다. 과거의 영업 방식에 머물러 있으면서 겉으로만 ‘글로벌 금융그룹 도약’을 외치는 것은 요란한 구호에 지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