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유럽 원전산업 회복 힘들어…‘脫원전’은 세계적 추세” – 유진투자증권

입력 2017-06-26 09:0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유진투자증권은 26일 보고서에서 “문재인 정부가 지향하고 있는 ‘탈(脫) 원전’과 재생에너지 산업 확대 정책은 정치적 결정이 아니라 글로벌 스탠다드”라며 유니슨, 씨에스윈드, 동국S&C, 태웅 등 국내 풍력 관련 업체의 수혜가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한병화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날 보고서에서 “미국에 이은 유럽의 원자력발전 산업의 축소는 글로벌 시장 전체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며 “국내 에너지 정책도 비싸고 위험한 에너지원으로 소비자들에게 각인되고 있는 원전을 붙잡고 있을 필요가 없다”고 진단했다.

한 연구원은 미국과 유럽의 원자력 발전 산업에 대해 “부품 공급망이 무너져 회복이 힘든 상황”이라고 언급했다. 가장 최근의 사례는 영국의 헝클리 원전이다. 한때 유럽 원전산업의 ‘제2의 성장기’를 가져다 줄 것이라는 기대를 받았지만 최근 감사 보고서에서 ‘기한 내에 프로젝트 완료가 어렵고 건설비용이 최대 30억 유로까지 추가될 수 있다’는 지적을 받은 곳이다.

가격경쟁력이 떨어진다는 점도 중요한 문제점이다. 헝클리 원전의 전력 판매단가는 1 메가와트(MWh) 당 92.5 파운드로 영국의 전력도매 평균 가격보다 두 배 이상 높다. 이달 초 해상 풍력단지 건설 입찰에서 개발업체들이 제시한 전력가격(1 MWh 당 80 파운드)에 비해서도 상당히 비싸다. 이와 함께 핀란드의 올킬루오토 3호 원전 준공 지연, 유럽의 원전산업을 이끌던 아레바의 몰락 등 유럽 다른 국가의 원전 산업도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고 한 연구원은 지적했다.

미국의 경우 웨스팅하우스의 파산호보절차 신청이 원전산업의 상황을 대변한다. 추진 중이던 신형 원전 모델 AP1000 4기 건설이 지체되면서 비용이 증가했고, 결국 대주주인 도시바가 4조 원 이상을 부담하는 손해를 감수하면서도 사업 자체를 포기한 사례다. 미국은 1979년 쓰리마일 원전 사고 후 30년 이상 원전 신설이 없어 부품업체의 수준이 매우 열악한 환경인데, 이를 고려하면 신형 원전 건설사업의 난관은 예견된 일이었다는 게 한 연구원은 시각이다.

미국과 유럽의 원전 산업 축소로 향후 원전 신규시장은 일부 개발도상국에 국한될 전망이다. 이렇게 되면 정부의 지원을 받는 러시아와 중국의 원전업체가 절대적으로 유리하다. 국내 원전업체들이 해외 신규수주는 사실상 어려울 것이라는 얘기다. 한 연구원은 “만약 국내 업체들이 향후 신규 원전을 수주하더라도 저가수주로 인한 후유증이 클 수밖에 없다”며 “탈원전 기조를 조기에 정착시키고 재생에너지 위주의 산업 생태계를 발전시켜야 한다”고 제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