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외금리차 금융위기후 최저·스왑포인트 8년만 최저·스왑베이시스 3~4개월만 확대
미국 연준(Fed)이 올 들어 두 번째 기준금리를 인상한 후 시장 흐름이 심상치 않다. 외화자금시장에서 달러흐름을 엿볼 수 있는 각종 지표들에 경고등이 켜지는 모양새이기 때문이다.
다만 시장 전문가들은 반기말인데다 시중은행들이 7월부터 강화되는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을 맞추기 위한 움직임도 있기 때문으로 풀이했다. 즉, 일반적으로 우려하는 자본유출과는 거리가 있다는 것이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17/06/600/20170623084020_1083327_600_253.jpg)
(체크, 금융투자협회)
외환(FX) 스왑포인트도 급락세다. 1개월물과 3개월물 FX스왑포인트는 각각 -75전과 -1원95전까지 떨어져 각각 2009년 7월 이후 7년11개월만 최저치를 기록했다.
통화스왑(CRS)과 이자율스왑(IRS)의 금리차인 스왑베이시스 역전폭도 구간별로 3~4개월만에 가장 크게 벌어졌다. 1년구간은 -66.0bp를, 2년구간은 -62.8bp를, 3년구간은 -60.0bp를, 5년구간은 -57.3bp를 보였다. 이는 최근 IRS금리가 채권금리 상승에 연동해 제자리 내지 상승하고 있는 반면 CRS금리는 하락세를 보이는 등 상반된 흐름을 보이고 있어서다.
여기에 최근 원·달러 환율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는 중이다. 21일 장중에는 1144.5원까지 올라 2개월만에 최고치를 경신하기도 했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17/06/600/20170623084052_1083328_870_357.jpg)
(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