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 고용시장 17% 차지...재정 투입으로 상당한 일자리 창출”

정부가 청년실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농촌으로 눈을 돌려 일자리 창출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14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농업·농촌 일자리 창출 가능성과 새로운 도전’을 주제로 토론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마상진 농경원 연구위원은 농산업 청년 고용 활성화를 위한 공공부문의 적극적인 개입을 강조했다. 또 농산업 고용의 질 제고와 산학협력 강화를 촉구했다.

마 연구위원은 “농산업 고용 시장은 전체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7%로 어느 산업보다도 높아, 어떤 정책을 펼치느냐에 따라 우리나라 전체 청년 고용 여건이 달라질 수 있다” 며 “현재의 청년 고용 문제는 개인의 문제라기보다는 사회 구조적 문제로 공공부문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김정섭 농경연 연구위원은 “2011년 도입한 농어촌 서비스 기준 가운데 상당수는 공공 부문의 재정 투입을 전제로 달성할 수 있는 것” 이라며 “그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만큼의 재정 투입이 이뤄질 경우 상당한 일자리가 동반 창출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정도채 농경원 부연구위원은 “향후 지역특화산업 육성 정책과정에서 단순한 일자리의 증가보다는 고용 안정성이 보장되는 괜찮은 일자리 창출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며 “식용자원 중심의 현 지역특화산업 영역을 농촌의 문화, 경관, 환경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