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출범 30일… 靑 “‘이게 나라냐’며 촛불 든 국민 답하려 노력”

입력 2017-06-08 15:1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문재인 대통령

새 정부 출범 한 달을 하루 앞둔 청와대가 국정 운영에 대한 소회를 전했다.

윤영찬 국민소통수석은 8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갖고 “나름 성과라고 생각해보면 좀 이르긴 하지만 ‘이게 나라냐’라며 촛불을 들었던 국민들에게 답하려고 노력했다”고 밝혔다.

윤 수석은 이날 “내일 정부 출범 30일을 맞는다. 아직 평가하기는 다소 이르다”라며 조심스럽게 운을 뗐다.

그는 청와대의 내각 구성이 늦어 지는 것에 대해 “선거 전부터 여소야대 상황에서 대통령 인수위원회 없이 출범해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면서 “현재 그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윤 수석은 “국민이 주인인 나라, 나라다운 나라로 가야한다는 목적의식은 분명하다”며 “권위주의를 타파하고 국민의 눈높이에서 소통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새 정부 출범 이후 현재까지를 평가했다.

지난 박근혜 정부에서 볼 수 없었던 대통령 직접 브리핑에 대해 그는 “국민과 수시로 소통하는 대통령이 돼 주요 사안을 (직접) 언론에 브리핑하겠다는 약속을 지키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새 정부 출범 이후 지시한 △일자리 위원회 설치 △국정교과서 폐지 △5‧18 기념식서 ‘임의 위한 행진곡’ 제창 △노후 석탄 화력발전소 가동 중단 △세월호 기간제 교사 순직 인정 △4대강 보 개방 등에 대해서는 “문재인 대통령 관심사의 시작이자 끝”이라고 표현했다.

윤 수석은 또 “5‧18 기념식 문 대통령은 아버지를 잃은 유족에게 어깨를 내주고 함께 울었다”며 “현충일에는 산업화와 민주화 사이의 화해할 수 없는 간극을 애국이라는 키워드로 온전히 해소하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독립운동가의 태극기와 전장의 태극기가 연결되고, 파독 광부의 고단함이 청계천 노동자의 고단함으로 이어졌다”며 “5.18 어머니의 원통함이 세월호 부모의 원통함으로 이어지는 통합의 시선을 보여줬다”고 덧붙였다.

윤 수석은 “문재인 정부는 낮은 사람, 겸손한 권력에 대하여 가장 강력한 나라를 만들 것”이라면서 “회피하지도 우회하지도 않고 뚜벅뚜벅 걷겠다”는 각오를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