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후보자, 대우조선 ‘혈세낭비’ 지적에 “불가피한 선택”

입력 2017-06-07 17:4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연합뉴스)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가 ‘혈세 낭비’ 논란이 있는 박근혜 정부의 대우조선해양 지원 결정에 대해 "경영정상화를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밝혔다.

김 후보자는 7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박근혜 정부 서별관회의의 대우조선해양 지원 결정에 대한 입장을 묻자 이같이 말했다.

앞서 정부는 채권단과 협의를 통해 대우조선해양에 지난해 10월 4조2000억원, 올해 3월 2조9000억원의 지원을 결정했다.

김 후보자는 대우조선해양 경영정상화 방안에 대해선 "수주량 확대와 자구노력이 동시에 필요하다"며 "올해 20억 달러 수주 목표는 현재까지 6억 달러를 달성했으나 문제는 내후년 수주목표가 높은 점"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쇄빙선을 포함한 수주를 늘리는 것이 경영합리화의 첫번째 비결"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김 후보자는 조선산업 회복을 위해 중국과 협력관계를 회복하고 러시아 등 북방 국가들과도 협력을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에 동의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이언주 국민의당 의원은 현재 추진 중인 대우조선 경영정상화 방안과 관련해 2018년 연간 발주량이 지원 당시 전망치보다 20%나 하향조정 됐는데, 클락슨의 전망치는 정부와 산은이 대우조선을 계속 지원하기로 결정한 핵심 근거였기 때문에 재검토가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지난 4월10일 클락슨은 ‘선박발주전망보고서’를 통해 2018년 연간 발주량을 2050만CGT로 전망했다. 이는 작년 9월 전망치 2560만CGT 보다 510만CGT를 하향 조정한 것이다.

이 의원은 “올해 1~3월에 삼정회계법인의 실사 결과에서도 자체 경영활동만으로는 재무ㆍ손익구조 개선이 어려운 것으로 추정됐고, 올해 4월부터 유동성 부족이 시작돼 최대 부족자금이 5조1000억 원(2018년 9월)으로 확대 전망되고 있다”며 대우조선의 정상화 방안이 당초 계획대로 추진되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삼정회계법인 실사 결과 계속기업 가정 시 미회수 예상액은 3조3011억 원, 청산 가정 시 미회수 예상액은 19조9917억 원으로, 청산 시 16조6905억 원의 추가 손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됐다며 "정부가 수주전망은 낙관하고, 청산 시 피해규모는 축소해 대우조선해양에 대한 지원을 합리화하고 있다는 의구심을 지울 수 없다"고 지적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