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etoday.co.kr/pto_db/2017/06/600/20170602111659_1072995_500_373.jpg)
장시간 같은 자세를 유지해야 하는 직장인이나 학생들은 목 주위와 어깨 근육통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바르지 못한 자세로 장시간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사용할 경우 뒷목과 어깨 주변 근육이 뻐근하며 통증이 나타나는데, 많은 이들이 대부분 목디스크를 떠올리지만, 사실은 ‘근막동통증후군’이 원인인 경우가 다반사다.
근육을 감싸고 있는 막인 근막이 약해지고 뭉치며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이 근막동통증후군이다. 단순 근육통이나 피로라고 생각해 별다른 치료를 받지 않고 방치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 질환은 한 번 발생하면 재발이 잦으며 다른 부위로 퍼지는 특징이 있다.
대표적인 증상은 통증과 근육경련, 운동 제한이 있으며 특정 부위를 눌렀을 때 심한 통증이 있고 이 통증 부위가 바뀌기도 한다. 또한, 밤잠을 이루지 못할 정도의 심한 통증으로 발전할 수도 있으며 디스크와 같은 척추질환을 불러올 수 있어 조기 치료가 필요하다.
근막동통증후군은 CT나 MRI로는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통증에 대한 환자의 병력을 파악하고, 신경학적 검사 등이 이뤄질 수 있는 의료진의 진찰이 매우 중요하다. 초기에 대처할 경우 충분한 휴식을 취하거나 약물치료, 도수치료 등의 보존적인 치료로 쉽게 호전이 가능하며, 통증이 심할 경우 주사치료가 효과적이며 물리치료와 스트레칭 등을 병행하면 치료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단순한 근육의 문제일 수도 있지만 만약 디스크나 협착증과 같은 질환과 함께 발생한 경우 통증에 대한 다각적인 접근법이 필요하다. 비수술 치료를 통해 기저질환을 치료하며 주사치료와 도수, 재활 치료로 주변 구조물의 전반적인 교정과 치료를 도와주는 체계적인 통증 조절 치료가 시행될 수 있다.
이한일 새움병원 척추클리닉 원장은 "무엇보다 근막동통증후군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스트레칭을 통해 근육의 긴장을 완화하고 자세를 바로 잡아주는 것이 도움이 된다. 근막동통증후군이 오래되면 그 기간만큼 오랜 치료가 필요하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는 경험이 풍부한 전문의의 진료를 보는 것을 권유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