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러 가스관 사업 재개 움직임… 文 에너지정책 현실성↑

입력 2017-05-24 10:2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더불어민주당 송영길 의원 등 한국 특사단이 23일(현지시간) 모스크바 시내 롯데호텔에서 알렉산드르 갈루슈카 장관을 비롯한 러시아 극동개발부 대표단과 회담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의 특사로 러시아 모스크바를 방문 중인 더불어 민주당 송영길 의원이 푸틴 대통령을 만나 러시아산 천연가스 PNG(파이프라인가스)의 국내 공급을 위한 가스관 건설 사업을 논의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2011년 이후 약 5년 만에 한-러 가스관 사업이 재개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송 특사는 24일 오후 푸틴 대통령을 예방하고 문 대통령의 친서를 전달하고서 한·러 및 남·북·러 경제협력 방안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특히 문 대통령은 송 특사를 통해 중단된 가스관 및 철도 연결 사업 재추진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남·북·러 가스관 사업은 고(故) 노무현 대통령이 2004년 9월 러시아를 방문했을 당시 이뤄졌다. 이후 2년여 간 한·러 가스협력 협상이 진행됐고, 2006년 양국 총리가 만나 한·러 가스산업 협력 협정에 최종 서명까지 진행됐다. 이명박 대통령이 2008년 러시아를 방문했을 때에도 당시 메드베대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에서 PNG 도입 추진에 합의해 한국가스공사와 러시아 국영가스기업 가즈프롬은 양해각서도 체결했으며, 2011년 한국가스공사와 가스프롬은 남북러 가스관 연결사업 로드맵도 발표했다. 그러나 2011년 12월 북한 김정일 위원장의 갑작스런 사망과 박근혜 정부 들어 남북관계가 경색되면서 사업은 중단된 상태다.

문재인 정부는 에너지 정책 공약으로 석탄화력 발전의 비중을 낮추겠다고 발표한 가운데 천연가스의 사용 비중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KWh당 발전단가가 원자력이 약 45~50원, 석탄화력이 약 60원대인 가운데 LNG는 약 100원대로 월등히 비싸 천연가스 발전 가동률의 부담이 국민에게 부담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또한, 천연가스는 전량 해외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이것 역시 발전 단가를 낮출 수 없는 제약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국가스공사가 발표한 지난해 우리나라 LNG 수입국을 살펴보면 카타르(36.6%), 호주(15.2%), 오만(15.1%), 말레이시아(11.4%) 등 4개국에서 천연가스의 80% 가까운 양이 수입됐다. 이 중 중동 국가의 의존도는 절반을 넘는다.

천연가스를 가스전에서 이를 뽑아 정제한 뒤 파이프로 직접 공급하면 PNG(파이프라인가스), 영하 162도에서 냉각해 액체상태로 가져오는 것을 LNG(액화천연가스)라고 부르는데, 액화 관련 비용 등으로 인해 PNG는 중동에서 들여오는 LNG에 비해 수입 가격이 평균 33.1% 저렴하다. 한-러 가스관 사업 재개로 러시아산 PNG가 도입될 경우, 보다 저렴하고 안정적으로 천연가스 공급을 확보할 수 있게 돼 문재인 정부의 에너지 정책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 관계자는 “러시아 천연가스를 PNG로 도입할 경우 LNG에만 의존하는 도입방식을 PNG로 다원화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며 “전체 에너지 수입량의 대부분을 중동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에서 값싸고 안정적으로 에너지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또 다른 도입처의 등장은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