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포 통폐합 위한 전략적 선택..노조 갈등 해소 차원인듯
씨티은행은 16일 일반사무 직원과 텔러직원 연내 정규직으로 전환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박진회 행장은 임직원에게 보낸 사내 이메일을 통해 “매년 전담직 직원의 정규직 전환은 비정규직 운용에 대한 부속 합의에 의하여 운용되어 왔으나 대승적인 차원에서 정규직 전환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대상은 무기 일반사무 전담직원 및 창구직원 약 300여 명이다. 씨티은행은 당초 정규직 행원 채용인원의 20%에 해당하는 인원을 매년 정규직으로 전환했으나, 올해는 무기 일반 사무 전담직원 및 창구직원 전원을 정규직 행권과 동일한 직급인 5급으로 일괄 전환한다는 것이다.
특별퇴직금 제도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박 행장은 “정년 연장으로 사문화된 준정년 특별퇴직금제도의 재검토가 필요하다면 TF(태스크포스)팀을 가동해 논의해보겠다”고 말했다.
이같은 씨티은행의 행보는 최근 문재인 대통령이 “임기 내 공공부분 비정규직 제로 시대를 열겠다”고 공언한 이후 민간기업으로는 첫 구체적인 반응이라 주목받고 있다. 국책은행 성격이 강한 기업은행도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씨티은행의 진정성이 의심된다는 시각도 있다. 외국계인 씨티는 그동안 정부 정책에 적극적으로 호응한 전례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부의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정책에 맞췄다기 보다는 사측의 니즈를 관철시키기 위한 전략적 선택이라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앞서 지난 3월 씨티은행은 기업금융을 제외한 소매금융점포를 전국 126개에서 25개로 축소한다는 내용을 담은 ‘차세대 소비자금융 전략’을 발표했다. 이에 반발해 노조는 지난 16일부터 태업 등 부분파업에 돌입했다.
씨티은행 노조는 3차례에 걸친 임금단체협상 과정에서 점포 100곳을 남겨둘 것과 무기 계약직의 정규직 전환 등을 요구했는데, 사측이 점포 통폐합을 밀어붙이는 대신 전략적으로 정규직 전환카드를 내줬다는 얘기다.
실제, 박 행장이 보낸 이메일에는 “영업점 숫자가 시장점유율을 결정하는 전통적인 사업 방식에서 벗어나야 한다”면서 “WM센터와 여신영업센터를 거점으로 대형 시중은행과 진정으로 경쟁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들어보자”며 점포 통폐합의 당위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노조 관계자는 “현재 시점에서 정규직 전환카드를 들고 나온 것은 조합원들의 분열을 노린 전형적인 물타기 수법”이라며 비판했다.
한편, 금융권은 씨티은행의 점포 통폐합 시도에 주목하고 있다. 급진적으로 점포를 줄일 경우 비용 절감에서는 바람직하지만, 고객의 금융 접근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안고 있는 탓이다. 특히 지방은행과 농협과 같은 지역밀착 성격 은행의 경우 점포 축소 자체가 한계가 있다. 다만, 씨티은행은 비대면 강화는 글로벌 전략차원이라는 입장으로 계속해서 점포 통폐합을 추진할 것으로 관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