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정치 테마주’ 기승…코스피 ‘투자경고ㆍ위험’ 종목 급증

입력 2017-05-15 07:2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올해 들어 코스피시장에서 투자경고 및 투자위험 종목의 수가 크게 증가했다. 연초 상장폐지된 한진해운 사태와 대선 테마주의 급등락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1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월부터 이달 12일까지 유가증권시장에서 시장경보조치를 받은 투자경고ㆍ투자위험 종목은 총 20개 기업으로 지정 건 수는 28건이었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는 모두 9개 종목이 11건의 투자경고ㆍ투자위험 종목으로 지정 받았다.

투자경고 종목은 15개(22건)이며 투자위험 종목은 5개(6건)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는 투자경고 종목이 8개(10건), 투자위험 종목은 1개(1건)였다.

투자경고 및 위험 종목 지정은 특정 종목의 주가가 비정상적으로 급등할 때 이뤄진다. 특히 투기나 불공정 거래 가능성이 엿보여 투자유의가 필요한 때 내려지는 시장경보 조치다. 투자위험 종목은 투자경고 종목보다 높은 단계의 경고 조치로 사안에 따라 거래정지로 이어질 수 있다.

올해 유가증권시장에서 투자위험이 있다고 지정된 종목은 한진해운과 선박투자회사인 코리아 01∼04호 등 5개였다. 한진해운은 지난 2월 파산선고로 상장폐지되는 과정에서 주가가 급등락했고 한진해운에 배를 빌려준 선박펀드 코리아 01∼04호의 주가가 동반 급등락했다.

이외에도 조기 대선 국면에서 안희정 충남지사 관련 테마주인 SG충방이 투자경고 종목으로 지정됐다. 남북경협 관련주로 대선 직후 급등한 신원우, 자본금 전액 잠식으로 거래정지 중인 STX와 STX중공업도 투자경고 종목으로 지정됐다.

코스닥시장에서는 올해 들어 모두 24개(24건) 종목이 투자경고 또는 투자위험 종목으로 지정됐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30개 종목(31건)보다 줄어든 수치다. 투자위험 종목은 ‘안희정 테마주’로 분류돼 주가가 급등락한 KD건설이 유일했다. 투자경고 종목은 안랩을 비롯해 ‘황교안 테마주’로 거론된 인터엠과 디젠스 등이 포함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