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쏭語 달쏭思] 개표(開票)와 개표(改票)

입력 2017-05-10 11:0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김병기 전북대 중문과 교수

선거를 위한 투표가 끝나면 개표를 한다. 이때의 개표는 ‘開票’라고 쓰며, 각 글자는 ‘열 개’, ‘표 표’라고 훈독한다. 투표함을 열고 투표의 결과를 확인한다는 의미이다.

이승만, 박정희의 시대에는 이 개표 과정에서 적지 않은 부정이 자행되곤 했다. 정권을 연장하고자 하는 측에서 한국전력과 사전에 모의하여 갑자기 정전을 시킨 다음, 어두운 틈을 타서 상대방의 표를 치우기도 하고 자기 편 후보에 대한 몰표를 만들어 투표함에 넣기도 하였다. 불행했던 시절, 개표의 한 풍경이다. 다시는 이런 일이 없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누구라도 개표의 결과를 인정하고 당선한 사람을 도와 국태민안(國泰民安:나라의 힘은 커지고 국민은 편안하다)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수년 전만 해도 선거 후만이 아니라, 기차역에서도 개표가 이루어졌다. 요즈음에는 전자 티켓이나 모바일 티켓을 사용하는 까닭에 그런 풍경을 보기가 쉽지 않지만 예전엔 역무원이 펀치기(punch器:서류나 팸플릿 따위를 묶기 위해 작은 구멍을 뚫는 기구)를 손에 들고 기차표에 구멍을 뚫어가며 표를 검사한 다음 플랫폼으로 들여보냈다. 이런 일을 개표라고 했으며, 이런 작업을 하는 출구를 개표구 혹은 개찰구라고 불렀다. 이때의 개표는 ‘개표(改票)’라고 쓰며 ‘改’는 ‘고칠 개’라고 훈독한다.

따라서 ‘改票’는 직역하자면 ‘표를 고치다’, 즉 ‘표를 바꾸다’라는 뜻이다. 즉 ‘사용 전의 표’를 ‘사용 후의 표’로 바꾸는 과정을 개표라고 표현한 것이다. 개찰(改札)의 ‘札’도 ‘표’ 혹은 ‘패’의 뜻이 있으므로 改票와 改札은 같은 뜻의 다른 말이다. 다 일본식 한자어이다. 표를 검사하는 일이라면 ‘검표(檢票)’라고 하는 것이 훨씬 자연스러워 보인다. 언젠가 전주역에서 ‘改票中’이라는 전광판을 본 중국인이 “어디에 가서 표를 바꿔야 하느냐”며 당황해하던 모습이 떠오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