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잘 날 없는 조선업계....노사갈등에 사망사고까지

입력 2017-05-08 10:1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수주 갈증을 겪고 있는 조선업계에 악재가 끊이지 않고 있다. 크레인 사고로 노동자들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는가 하면, 임금 및 단체협상(이하 임단협) 갈등도 좁혀지지 않고 있다.

지난 1일 삼성중공업 거제조선소에서는 크레인 충돌 사고로 노동자 6명이 사망하는 인명사고가 났다. 사고 직후 거제조선소 전야드의 작업을 전면 중단한 삼성중공업은 6일 오후부터 노동자 1300여 명을 투입해 일부 작업장의 작업을 재개했다.

삼성중공업은 이번 사고로 적지 않은 부담을 안게 됐다. 사상자가 대부분 하청 노동자인 것으로 밝혀지면서 대선후보들이 원청인 삼성중공업을 향해 문책과 보상을 촉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자유한국당 홍준표, 국민의당 안철수, 바른정당 유승민, 정의당 심상정 등이 직접 사고 현장을 찾고 삼성의 책임을 강조했다.

박대영 삼성중공업 대표는 오는 6월 안전한 작업장 구현을 위한 마스터플랜을 발표할 예정이다. 현재 내부적으로 △외부 전문기관의 안전점검 정례화 △외부 전문기관과 공동으로 크레인 작업 신호체계 재구축 △크레인 충돌방지 시스템 개발 등 근본적인 사고 방지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이밖에 안전전담 조직을 글로벌 선진업체 수준으로 확대하고, 삼성중공업의 안전관리 체계를 전면 재정비한다는 방침이다.

현대중공업은 2016년 임단협을 두고 여전히 갈등 중이다. 이에 따라 올해 6월부터 진행해야할 임금협상도 늦어질 전망이다. 현대중공업은 통상 5월에 2년에 한 번 임단협을 진행하고, 매년 6월에는 임금협상을 벌였다. 그러나 지난해 5월 10일 시작한 임단협 결과가 1년 째 요원한 상태다.

현대중공업은 구조조정을 명분으로 임금 20% 추가 반납을 요구하고 있지만 노조는 ‘생존권을 위협한다’며 반대하고 있다. 실제로 조선업 불황이 장기간 이어지면서 지난해부터 휴일특근이 줄고, 고정연장수당이 폐지됐다. 노조는 이에 따라 조합원 평균 임금손실액이 월 95만 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게다가 최근 4개 법인으로 분리되면서 교섭권을 두고 사측과 노조의 의견이 팽팽히 맞서는 점도 갈등을 키우고 있다. .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