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품목은 태양광 발전용 계통연계형 인버터와 독립형 인버터, 결정질 태양전지 모듈, 태양전시 셀, 태양광 집광채광기 등 5종
태양광발전산업의 국제경쟁력을 확대하기 위해 태양광 제품에 대한 국제인증제도를 도입한다.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은 태양광제품의 신뢰성을 높이고 우수한 국산 제품개발 및 수출을 촉진하기 위하여, 태양광 국제인증제도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태양광 인증 대상 품목은 태양광 발전용 계통연계형 인버터와 독립형 인버터, 결정질 태양전지 모듈, 태양전시 셀, 태양광 집광채광기 등 5종이다
태양광 국제상호인증(IECEE PV)의 인증기관 및 성능검사기관으로 에너지관리공단, 산업기술시험원, 에너지기술연구원이 지난 9월 가입신청을 하여 내년 2월에 국제심사단으로부터 평가를 받을 예정이다.
![](https://img.etoday.co.kr/pto_db/2007/11/600/20071127122406_yup_1.jpg)
기표원 관계자는 “국내태양광설비 인증제도는 국제상호인증제도와 일치시키기 위하여 2005년부터 인증기준을 국제기준과 부합화 시켜왔다”면서 “가입이 예상되는 시점인 내년 5월 이후에는 완전하게 부합화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태양광 국제상호인증제도는 개별국가별로 운영하는 인증제도의 평가기준 및 절차의 차이를 통일하여, 회원국 상호인증제도를 구축하여, 한 국가에서 인증받은 제품은 다른 나라의 인증을 면제하는 제도이다. 현재는 독일, 일본 등 8개국이 참여하고 있고, 2004년부터 시작됐다.
태양광발전분야는 세계시장규모가 2005년에 124억달러(생산량 1.8GWp)에서 2010년에는 약 720억달러(생산량 10GWp)로 연평균 30%이상 성장 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EU, 일본 및 미국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치열한 경합이 이뤄지고 있으며, 이들 국가가 전 세계시장의 약 90%를 장악하고 있다.
후발주자인 우리나라는 기술력이 선진국의 70% 정도이며, 생산량도 선진국에 비하여 미미한 수준이나 최근 생산이 급증하여 현재 국내수요를 상회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국제인증에 따라 국제표준에 따른 성능평가 및 인증을 획득한다면 수출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태양광설비 설치기준에는 수입제품에 한정하여 국제상호인증제품을 설치하도록 규정되어 있으나, 이번 태양광인증제도의 국제화를 계기로 2008년 하반기 부터는 국내제품도 이 인증제도에 의한 인증취득이 사실상 의무화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