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 “최악의 상황 피했다…투자자 신뢰 회복 급선무”

대우조선해양은 정부가 마련한 추가 지원방안에 대해 “최악의 상황은 피했다”는 반응이다. 그러나 채권단 내부적으로 지원 여부에 대한 최종 결정이 남은 만큼, “투자자에 대한 신뢰 회복에 주력 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23일 촤대 5조8000억 원 규모의 대우조선에 대한 추가 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국책은행과 시중은행이 총 2조9000억 원을 출자전환 하면 2조9000억 원의 신규 자금을 지원하는 조건부 지원책이다. 만일 채권단이 최종적으로 채무조정 합의에 실패하면 사전회생계획제도(P-플랜)로 강도 높은 회생 절차에 돌입하겠다는 복안이다.

이에 대우조선 관계자는 “정부의 추가 자금 지원 부문은 채권단의 자율적 합의에 따라 최종 결정되는 사안인 만큼, 아직까지 안심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며 “지난해 업황부진이 지속되자 유동성 유기를 초래했지만, 기술적 측면에서는 경쟁력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추가 지원이 결정되면 회사나, 주주들 역시 투자자 신뢰회복과 경영 정상화를 위해 매진 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우조선은 시중은행과 사채권자들이 채무조정 합의에 실패하면 법적 강제력을 활용한 강도높은 구조조정 실행이 불가피하다는 점에서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는 상황이다. 또 다른 관계자는 “조선업 특성상 회생절차 추진 시 청산절차로 귀결될 가능성이 크다”며 “일정기간 정상적 경영이 불가능하고 건조중단 등이 발생하는 등 최악의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고 우려했다.

정성립 대우조선 사장은 오는 24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경영 정성화 궤도에 집입하지 못한 것에 대한 사과와 함께 향후 경영계획에 대해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정 사장은 수주절벽이라는 악조건 속에서도 기술력 등을 보존하며 향후 조선산업 재편의 기반 마련에 집중하겠다는 전락을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정 사장이 인력 구조조정의 골든타임을 놓친 탓에 최악의 위기를 초래했다는 지적에 이와 관련된 내용도 언급될 전망이다. 정 사장은 지난해 3월에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인위적 구조조정을 하지는 않겠다”며 인력을 감원해 고정비 지출을 줄여야 한다는 지적에 선을 그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