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쏭語 달쏭思] 자체(字體)와 서체(書體)

입력 2017-03-08 10:3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어제의 서예와 캘리그라피 이야기에 이어 오늘은 자체(字體)와 서체(書體)에 대한 얘기를 하고자 한다. 서예가로 활동하고 있는 필자가 전시장에서 관람객들로부터 가장 많이 받았던 질문은 “이 작품은 무슨 체(體)인가요?”였던 것 같다.

이런 질문을 받았을 때는 어떤 답을 해야 할까? 해서체(楷書體), 행서체(行書體), 초서체(草書體), 전서체(篆書體), 예서체(隸書體)라는 답을 해야 할까? 아니면 유명 서예가의 이름이나 호를 붙여 부르는 구양순체(歐陽詢體), 안진경체(顔眞卿體), 혹은 추사체(秋史體), 석봉체(石峯體)라는 답을 해야 할까?

서예의 체에는 자체와 서체의 구분이 있다. 자체란 글자의 체, 즉 ‘문자의 꼴’을 뜻한다. 역사의 흐름에 따라 진행된 문자의 변화 과정에서 필획의 가감(加減)이나 곡직(曲直) 등의 변화로 인하여 문자의 구조(構造·Structure) 자체에 변화가 생겼을 때 그 변화된 구조에 따라 분류한 것이 바로 자체이다. 한자의 경우 전서, 예서, 해서, 행서, 초서 등 이른바 ‘5체’를 일컬어 자체라고 한다.

서체는 같은 자체의 문자를 쓰더라도 쓰는 사람마다 그 사람의 예술적 감각과 장식적 욕구에 따라 각양각색의 모양이 나타날 수 있는데 그렇게 각양각색으로 쓴 각자의 글씨체를 일러 서체라고 한다. 예를 들자면, 같은 자체의 해서체를 썼더라도 구양순이 썼으면 구양순체, 안진경이 썼으면 안진경체라고 하고, 추사가 썼으면 추사체, 한석봉이 썼으면 석봉체라고 부르는 것이 바로 서체인 것이다. 요약하자면, 자체는 문자의 변화 과정에서 생긴 ‘글자의 꼴’이고, 서체는 쓰는 사람의 개성과 예술적 감각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글씨의 꼴’이다.

우리 조상들이 우리 민족의 고유 미감을 살려 창작한 서예 유산을 잘 활용한다면 우리나라는 세계 최고의 문자 디자인 강국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