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청서 만나는 3.1운동 34번째 푸른 눈의 민족대표 스코필드 박사

입력 2017-02-20 13:3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사랑하는 미씨에게, 제가 보내드린 글을 Children’s Magazine에 출간해 주기를 바랍니다. 저는 그 잡지를 여기 한국에서도 접하고 있습니다. 여기 불쌍한 민족을, 그들이 겪어왔고 당하고 있는 고통은 하나님 외에는 아무도 모를 것입니다…."- 프랭크 스코필드(헨리 미에게 보낸 편지)-

일제의 만행과 한국의 독립운동을 세계에 알린 '34번째 푸른 눈의 민족대표' 프랭크 윌리암 스코필드(한국명 석호필) 박사를 기념하는 전시회가 21일부터 다음달 9일까지 서울시청 로비에서 열린다.

캐나다 국적 의료 선교사인 스코필드 박사는 1916년 세브란스 의전 교수로 부임했다. 이후 일제의 폭압적 통치에 고통받던 우리 민족의 비참한 처지를 보고 독립운동을 도왔다.

그는 한국에 있던 외국인 중 유일하게 3.1 만세운동 계획을 미리 통보받고 비밀리에 지원해 '민족대표 34인'이라는 별칭도 얻었다.

일제가 벌인 제암리·수촌리 학살 현장을 직접 찾아 사진과 글로 남겨 전 세계에 알렸고, 3·1 운동을 자세히 소개하는 등 활동을 했다.

이런 공로로 박사는 국립서울현충원 애국지사 묘역에 안장된 유일한 외국인이 됐다.

3·1 운동 98주년을 맞아 마련한 이번 전시는 2부로 나눠 박사의 친필 서한, 유품, 사진 등 20점을 선보인다.

1부는 박사가 직접 촬영한 제암리·수촌리 학살 현장 사진과 3·1 운동 사진, 일본의 만행을 기록한 원고 '꺼지지 않는 불꽃' 원본 등 서한을 전시한다.

2부는 3·1 운동을 경험한 박사가 '한국정신'이라며 강조한 자유와 희생, 봉사 등 가르침을 정리했다.

박사의 흉상과 연보 등을 전시한 포토존에서 기념사진도 찍을 수 있다.

24일 오전 박원순 서울시장과 에릭 월시 주한캐나다대사, ㈔호랑이스코필드기념사업회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개막식을 한다.

신종우 서울시 복지정책과장은 "민족대표 33인과 함께 우리나라의 독립운동에 앞장선 스코필드 박사의 전시회를 개최하게 되어 영광스럽게 생각한다"며 "스코필드 박사의 헌신과 의로움 정직함을 함께 배우는 시간에 시민분들의 많은 참여를 바란다"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