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총수 구속] 주요 외신들, ‘이재용 구속’ 긴급 타전 “특검, 반(反)재벌 여론 의식”

입력 2017-02-17 08:1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박근혜 대통령과 그 측근인 최순실에게 거액의 뇌물을 건넨 혐의로 구속되자 주요 외신들은 이를 서울발로 긴급 타전했다.

AFP통신은 이날 오전 5시 44분 ‘삼성 후계자 부패수사에서 구속’이라는 한 줄 제목으로 가장 먼저 이 소식을 전했다. AFP는 “새롭게 구성된 범죄혐의 사실과 추가로 수집된 증거자료 등을 종합할 때 구속의 사유와 필요성이 인정된다”라는 한정석 서울중앙지법 영장전담판사의 발언을 인용했다.

AP통신도 “한국 법원이 대규모 부패 추문에 연루돼 뇌물 등의 혐의를 받는 삼성 후계자의 구속을 승인했다”고 보도했다. 또 이 부회장이 이건희 삼성 회장의 외아들인 점을 언급했다. 이에 따라 한국 재계에 충격이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온라인판을 통해 삼성의 사실상 리더인 이 부회장이 박 대통령의 탄핵소추 이유인 부패 추문과 관련해 구속됐다고 보도했다. 또 “이 부회장이 최순실과 관련된 회사에 삼성이 3700만여 달러(약 422억 원)를 지급한 것과 관련되어 있다”며 “그가 뇌물, 횡령, 위증 등의 혐의를 받고 있다”고 전했다. 삼성은 이 돈의 송금은 인정하나 정치적 대가성은 없다고 부정하고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재계에서는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우려해 기각을 원하는 목소리가 컸으나 특검이 강하게 형성된 한국의 반 재벌 여론을 의식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달초 서울 강남의 삼성 사옥 앞에서 시민단체가 “대기업 재벌의 기득권을 반대한다”며 이 부회장의 체포와 구속을 외쳤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또한 신문은 노동당의 온라인 설문조사에서 재벌 총수 구속을 요구하는 응답률이 90%까지 늘어났다는 점도 덧붙였다. 결국 특검이 구속 영장을 청구할 수 밖에 없었던 배경에는 재벌에 대해 엄격한 여론이 있었다는 것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1월에 특검이 청구한 구속영장에서 혐의는 뇌물, 횡령, 위증 3개 혐의였으나 이번에 새롭게 범죄수익은닉·재산 국외 도피 혐의 2가지가 추가됐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한국 재계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는 점을 강조하며, “명확한 증거가 제시되지 않은 가운데 국제적 기업 경영자의 수사는 신중해야 한다”는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의 주장과 “특검이 박근혜 대통령을 조사해야 한다는 본래의 목적을 잃어버린 것이 아닌가”라는 한 매체의 주장을 인용하기도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