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서 사라지는 달동네들… 재개발 ‘기지개’

입력 2017-02-13 09:3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백사마을, 서울주택도시공사 참여로 사업 정상화… 강남 마지막 판자촌 ‘구룡마을’ 아파트단지로

10년 가까이 표류해 왔던 노원구 백사마을 정비사업이 정상화돼 본격 추진되는 등 서울에 남은 마지막 달동네(저소득층 밀집 지역)들이 사라지고 있다.

13일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주택도시공사는 최근 노원구, 중계본동 주민대표회의와 백사마을 주택재개발 정비사업을 조속히 추진하기 위한 3자간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서울의 마지막 달동네인 백사마을은 1967년 정부의 서울 도심 개발로 청계천, 영등포, 용산 등에서 강제로 쫓겨난 사람들이 이주·형성한 마을이다. 어려운 형편으로 제대로 된 개발이 이뤄지지 않아 낡은 주택이 즐비한 곳이다. 이에 재개발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됐고 지난 2008년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이 풀리고 2009년 재개발 정비구역으로 지정되면서 재개발이 가시화됐다. 하지만 투자자와 원주민들 사이의 갈등이 심화되고 사업시행자였던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사업성 저하를 이유로 포기하면서 재개발 사업은 표류했다.

지난해 말 새로운 주민대표회의가 꾸려지는 등 백사마을 재개발은 전열을 가다듬었다. 이후 지난달 10일 주민대표회의는 토지소유자의 77% 동의를 얻어 SH를 새로운 사업시행자로 선정해달라고 노원구청에 요청했다. 노원구청은 올 상반기 내 SH를 백사마을 재개발 사업시행자로 지정 고시하고 2018년 상반기까지 사업시행인가를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할 방침이다.

변창흠 서울주택도시공사 사장은 “서울시와 지자체, 주민들과 긴밀히 협력하여 백사마을이 서울을 대표하는 정비사업의 명소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강남의 마지막 판자촌이던 서울 개포 구룡마을은 2600여 가구가 들어선 아파트 단지로 탈바꿈된다. 구룡마을은 1980년대 후반 아시안게임과 올림픽을 앞두고 강남구 개포동 일대가 개발되면서 집을 잃은 사람들이 대거 들어와 무허가 판자촌을 이룬 곳이다. 아직도 1100여가구가 남아 있다. 구룡마을은 2011년 개발이 결정됐으나 이후 사업 취소와 논의 재개 과정을 거쳐 지난 3일 5년여 만에 사업이 확정됐다.

서울의 대표 부촌인 성북구 성북동에 외딴섬처럼 자리잡은 북정마을은 ‘마을공통체’를 추진하며 변신을 꾀하고 있다.

북정마을은 문화재보존을 위한 규제가 많은 데다 고도제한까지 걸리면서 사업성이 떨어진다는 판단 때문에 재개발이 무산돼 북정마을 주민들로 구성된 비상대책위원회가 결국 재개발을 포기하고 보존과 재생을 패러다임으로 한 ‘마을공동체’를 추진하고 있다. 최근에는 감성정인 풍경과 저렴한 임대료 등의 매력이 부각돼 젊은 예술가들이 몰려 들어 북정마을의 구옥을 개조해 정착하면서 마을에 새로운 활력소가 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