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삼성바이오로직스 상장 특혜 없었다…규정에 따라 진행”

입력 2017-02-10 13:3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삼성그룹이 삼성바이오로직스 상장 과정에서 특혜는 없었다고 해명했다.

삼성은 10일 삼성바이로직스 상장 과정에서 금융감독위원회 등으로부터 도움을 받은 사실이 없다고 밝혔다.

이날 한 언론보도에 따르면 특검은 삼성이 삼성물산·제일모직을 합병하는 과정에서 주주가치 훼손 논란이 일자 삼성물산이 가지고 있던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지분가치를 높이기 위해 금융위 등의 도움을 받아 상장을 진행시켰다는 의혹에 대해 조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은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상장은 규정에 따랐다고 주장했다. 삼성 관계자는 “코스피 상장 규정 변경 전에도 적자 회사 역시 나스닥과 코스닥 상장은 가능했고, 코스피 상장으로 인한 추가 혜택은 없다”고 말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당초 국내 증시 상장이 아닌 미국 나스닥 상장을 우선 고려하고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주로 해외 제약사로부터 바이오의약품을 위탁받아 바이오의약품을 생산하는 전문회사이기 때문에 상장을 하게 된다면 바이오산업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나스닥 시장이 최적이라는 판단을 갖고 있었던 것.

또한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세계 최대 바이오 전시·컨퍼런스인 바이오 인터내셔널(Bio International)과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JP Morgan Healthcare Conference) 등에 참가하면서 글로벌 고객 및 잠재 투자자로부터 높은 관심을 받고 있었다는 점도 나스닥 상장을 고려한 이유다.

그러나 한국거래소는 지난 2015년 11월 5일 상장규정 변경 발표 후 코스피, 코스닥 상장 유치를 위해 삼성바이오로직스를 수 차례 방문했다. 결국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해 4월 28일 이사회에서 최종적으로 국내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추진하기로 결정했고, 같은 해 11월 10일 상장했다.

회사 관계자는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상장 전 한국거래소 방문 당시) 일관되게 ‘아직 구체적인 상장계획은 없으며 상장추진 시 나스닥과 비교하여 검토하겠다’는 답을 했다”며 “(코스피 상장은) 한국거래소의 지속적인 권유와 여론, 국민들의 기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정”이라고 선을 그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