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표원, 시험·연구장비 1500종 32개 기관에 이관

입력 2007-11-06 15:5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산자부, 장비 공동활용 정착위해 1200종 무상 대부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은 타기관 이관을 통해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시험ㆍ연구장비 1500여종을 32개 기관에 이관한다.

연구기관과 시험검사기관 등이 보유하고 있는 시험·연구장비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기존의 아나바다 운동을 접목하여 추진해 온 ‘시험·연구장비 활용 혁신 운동’이 열매로 나타났다.

산업자원부는 한·미 FTA 타결 직후인 지난 5월부터 국민소득 3만달러, 무역 1조달러 시대 도약의 발판 마련을 위해 범국가적 기술인프라 혁신 운동을 펼치기로 하고, 먼저 산자부의 69개 장비보유 유관기관을 대상으로 1단계 사업을 추진해 왔다

그동안 추진한 결과로 6일 오전 11시 기술표준원에서 ‘기술인프라 파트너십 장비이관 협약식’을 개최하고, 타기관 이관을 통해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고 조사된 약 1500종의 장비(약 330억원 상당)를 32개 기관에 이관했다.

오영호 산자부 제1차관은 협약식 치사를 통해 “장비 활용 혁신을 위해 유관기관이 자율적·실천적으로 참여하는 기술인프라 파트너십을 결성하여 추진해 온 사업이 일정한 성과를 거두어, R&D와 시험분석에 소요되는 기간도 상당수준 단축되고 질적 수준도 높아짐으로써 산업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오 차관은 이번 혁신운동이 정착되면 “장비에 대한 중복투자 방지로 국책 연구사업의 예산 절감효과가 크고, 해외시험 의뢰비용 절감 및 외산장비 수입 감소 등으로 연간 2400억원 이상의 경제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이번 혁신 운동의 배경은 최근 FTA 확산으로 시험·분석 서비스 시장의 개방 요구가 거세지고, 기술융합 등 급격한 기술 발전으로 새로운 첨단 장비의 확보여부가 기술개발의 성패를 좌우하는 경향이 있어 첨단 장비의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단시간내에 이러한 장비 수요를 충족시키기 어려운 면이 있음을 감안하여, 우선 이미 국내에 구축된 장비를 적재적소에 재배치하고 공동활용을 실천에 옮기도록 함으로써 장비활용의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이번에 장비 활용 혁신 운동에 참여한 산자부 유관 69개 기관(보유장비 1만7000종)에서는 절반에 가까운 장비(8200종, 48%)를 보다 활용도가 높은 타기관에 이관 또는 기관간 문턱을 낮추고 공동 활용하기로 하는 실천적 나눔운동을 전개하기로 했는데, 그 중 6700종은 공동 활용, 1500종 장비는 타기관에 이관하는 것이다.

특히, 기표원은 산업환경 변화에 능동적 대응을 위해 정책 업무를 확대하고 단순업무는 축소하기로 방침을 정하고, 시험·연구업무 수행에 활용하던 1200여종의 장비(총 보유 2000종의 60%)를 과감하게 이관하기로 결정하여 모범을 보였다.

장비이관 협약이 체결됨에 따라 시험장비는 시험검사 능력의 제고를 위해 시험·검사기관으로(75%), 연구장비는 산업정책 목적상 사업성과의 배가를 위해 R&D 지원기관으로(15%), 범용 과학장비는 기술인력의 교육ㆍ실습용 장비로 활용하기 위해 공고, 전문대학 등 교육기관으로(10%) 이관하게 된다.

이번 이관의 특징은 장비의 용도별 특성을 고려하여 분야별 유사장비를 그룹핑하여 최적의 대상기관에 집중 배분함으로써 장비 활용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장비 지원이 시급한 8개 기관에는 20억원 상당 이상의 장비를 지원한다.

특히 국제 환경·안전규제 대응을 위해 한국전기전자시험연구원 등 5개 시험·검사기관에 676종(156억원), 부품소재산업육성을 위해 대구 기계부품연구원 등 2개 기관에 132종(58억원), 이공계 실무교육 내실화를 위해 경기공업대학에 87종(27억원)을 집중 지원한다.

산자부 관계자는 “이번 ‘기술인프라 파트너십’ 사업을 지속적으로 보완 개선하고 발전시켜 범정부 차원의 국가 혁신사업으로 추진하는 한편, 장기적으로는 연구개발 및 시험분석 장비 등의 기술인프라 운영 시스템을 선진국 수준 이상으로 제고할 계획”이라면서 “아울러 장비 운용기관의 객관적인 활용도 평가 지표개발 및 인센티브 지원대책, 장비운용 전문인력 지원 등 제도적 지원을 적극 추진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