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까지 충남 석탄발전소 오염물질 57% 감축

입력 2017-02-08 11: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부가 충남 당진 지역 석탄발전 총 12기에 2조6000억 원의 친환경 투자를 통해 2030년까지 충남지역 석탄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총량을 57% 가량 감축할 계획이다.

우태희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은 8일 오후 겨울철 전력설비 안전운영 현황과 발전소 환경설비 투자계획 점검을 위해 동서발전 당진화력발전소를 방문해 이같이 밝혔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7월 노후 석탄발전 10기 폐지, 운영 중 발전기 환경설비 전면교체, 향후 전력수급기본계획 수립시 신규 석탄발전 원칙적 제한 등을 포함한 석탄발전 미세먼지 대책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충남 당진에는 2030년까지 총 2조6000억 원의 친환경 투자가 이뤄질 전망이다.

먼저, 2018년까지 당진화력 1~8호기(4GW) 탈황ㆍ탈질ㆍ집진설비 보강에 총 720억 원을 투입해 오염물질 총량을 2015년 대비 21% 줄인다.

또, 2030년까지 당진지역 12개 발전기의 성능개선(retrofit) 사업과 환경설비 전면교체 등에 약 2조6000억 원을 투자한다.

이를 통해 신규 건설 예정인 발전소를 포함해도 당진 등 충남지역 석탄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총량은 2015년 대비 2030년 57% 가량 감축할 수 있다는 게 정부의 계산이다.

우 차관은 “당진에코발전소의 경우 건설단계부터 세계 최고수준인 영흥화력과 동일한 배출기준을 적용받을 예정이며, 당초 사업자가 계획한 환경설비 투자비 대비 약 2200억 원을 추가로 늘려 친환경ㆍ저탄소 발전소로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산업부는 발전소 친환경 투자를 포함해 향후 당진지역 전력설비 신규 건설을 통해 당진지역에 발생하는 투자 효과는 향후 발전소 운영기간 동안 총 7조 원 규모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내다봤다.

우 차관은 “동서발전 등 사업자는 발전소 착공 후 총 4500억 원 규모를 지역에 지원하고 최근 3년간 연평균 300억 원 규모의 지방세와 지원사업금을 지원하는 등 지역사회 공헌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향후 설비 건설시에도 최대한 지역 업체를 활용해 지역의 일감 창출과 지역 인재 고용에 큰 전기가 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우 차관은 당진화력발전소의 중앙제어실, 보일러 설비 등을 점검하고 “최근 안정적인 수급상황이 지속되고 있으나 항상 이상한파 등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최악의 상황을 대비하는 자세로 전력수급에 차질이 없도록 설비운영에 임할 것”을 지시했다.

아울러 작년 9월 경주 지진사태 이후 지진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감을 감안해 지진방재 종합대책에 따른 발전설비의 내진성능 평가와 보강을 조속히 추진하도록 당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