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etoday.co.kr/pto_db/2017/02/600/20170202043251_1014115_300_450.jpg)
탈모로 스트레스를 받는 이들이 늘고 있다. 과거와 달리 탈모의 연령이 점차 낮아지고 있으며, '외모'가 경쟁력 중 하나가 된 현대사회에서 탈모인은 고충이 많을 수밖에 없다. 탈모는 약물치료나 주사 치료로 개선이 가능하지만, 탈모의 진행을 멈춰주는 데에 그치거나 개선 효과가 미미하기 때문에 보다 확실한 치료를 기대하는 환자들은 '모발이식'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모발이식은 후두부의 모발을 필요 부위로 옮겨 심어 주는 방법으로 M자 탈모, 정수리 탈모 등 탈모 유형에 따라 M자모발이식, 정수리 모발이식 등으로 치료하며, 탈모 증상이나 시기, 성별이나 나이에 상관없이 치료받을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삭발이 필요 없는 '무삭발비절개모발이식'까지 등장해 수술 부담을 덜어 주고 있다. 이 수술법은 절개, 봉합에서 올 수 있는 통증과 흉터, 후두부 당김 같은 후유증이 없고 회복이 상대적으로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헤어스타일을 유지한 상태로 진행하기 때문에 연예인 등 외모 변화에 민감한 직업군에서 더욱 선호한다.
이러한 모발이식이 최근 인기를 끌면서 전국 어디서나 모발이식병원의 간판을 쉽게 찾아볼 수 있게 됐고, 심지어 탈모클리닉이 아닌 성형외과와 피부과에서도 모발이식술에 동참하고 있다. 그만큼 선택 폭이 넓어지면서 어떤 기준으로 병원을 골라야 하는지 몰라 고민하는 경우가 있는데, 모발이식에 있어 병원 선택의 기준을 바로 알고 선택하는 것이 좋다.
수술할 병원을 결정할 때 가장 많이 하는 실수가 '비용'을 우선순위로 두는 것이다. 모발이식은 많은 인력이 장시간 집중력을 발휘해 수술이 이뤄져야 하므로 일정 수준 이하로 가격이 낮아질 수 없다. 비용을 줄였다면 그만큼 인력이나 시간, 집중도 등을 떨어뜨릴 수밖에 없고, 이는 수술결과로 이어진다. 밀도나 생착력이 떨어지거나 사후관리, AS가 이뤄지지 않는 경우도 있고, 기대했던 것과는 다른 결과가 만들어질 수 있는 만큼 비용에만 집착하면 좋지 못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병원 선택 과정에서 가장 염두에 두어야 하는 것은 바로 '생착률'이다. 이는 이식한 모낭이 살아남아 자리 잡고 자라는 비율을 말하는 것으로 수술도구나 과정, 전문의의 숙련도, 수술환경, 사후관리 여부 등에 따라 달라진다. 수술 후 1년 정도 지나야 생착률이 드러나는데, 이때 생착률이 낮아 재수술을 하고 싶어도 후두부 모발이 충분하지 않으면 재수술이 불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처음부터 수술 1년 이상 경과한 후기 등을 살펴보고 높은 생착률이 입증된 수술법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이수익 대구 포헤어모발이식센터 원장은 “수술을 할 수 있는 횟수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처음부터 제대로 수술해야 한다”며 “병원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수술 인력을 제대로 갖추고 있는지, 사후관리는 어떻게 이뤄지는지, 수술 후에도 수술 결과가 보장되는지 등을 꼼꼼하게 살펴볼 것을 권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