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대 신산업 2025년까지 최대 58만명 필요”

입력 2017-02-02 10:5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산업기술진흥원산업연구원 예측… AR·VR, 친환경 선박, 항공드론 순

미래형 자동차, 친환경 선박, 항공드론 등 우리나라 12대 미래 유망 신산업에 2025년까지 인력 58만5000명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산업기술진흥원과 산업연구원은 계량모형, 정성적 분석, 정책 목표 등을 고려해 12대 신산업의 인력 수요를 예측한 결과, 적어도 45만3000명, 많게는 58만5000명의 인력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됐다고 2일 밝혔다.

12대 미래 유망 신산업은 신산업 민관협의회에서 제시한 분야로 △미래형 자동차 △친환경 선박 △첨단 신소재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시스템 반도체 △사물인터넷(IoT) 가전 △로봇 △에너지 신산업 △고급 소비재(화장품·패션) △바이오 헬스 △항공 드론 △증강현실(AR)·가상현실(VR)이 이에 해당된다.

최소 인원은 우리나라가 산업환경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현재 상태를 유지할 경우, 최대 인원은 구조혁신이 성공적으로 이뤄져 신산업 생산이 증가할 경우를 가정했다.

구조혁신에 성공한다면 유망산업 인력은 연평균 11.2% 늘어나, 제조업 전체 취업자의 연평균 증가율 1.3%를 크게 웃돌 것으로 전망했다.

전체 제조업 대비 신산업 취업자 비중은 2015년 4.5%에서 2025년 11.5%로 확대된다.

업종별로 보면 패션, 화장품 등 고급소비재 취업자가 가장 많은 13만7000명으로 추정됐고, 로봇 8만4000명, 에너지신산업 6만8000명, 시스템반도체와 미래형 자동차 각 5만3000명 등이 뒤를 이었다.

10년 뒤 인력 수요가 가장 많이 늘어날 것으로 보이는 산업은 AR·VR(연평균 32.2%)였다.

친환경 선박(28.6%), 항공드론(23.8%), 미래형 자동차(21.5%)에서도 취업자가 크게 늘 것으로 예상했다.

정재훈 산업기술진흥원장은 “이번 미래 유망 신산업 인력수요 전망이 4차 산업혁명 시대 산업인력 정책 방향 설정 시에 유용하게 활용될 뿐 아니라 대학과 미래의 주역인 청년들의 진로 설정 시 도움이 되는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