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가계부채 1300조 시대, 자본시장이 나서야

입력 2017-01-26 13:2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최두선 자본시장부 기자

국내 가계부채가 1300조 원을 돌파했다. 반면 소득은 적어 소비절벽이 장기화하고 있다.

더 큰 문제는 해결책이 마땅치 않다는 점이다. 저금리 시대에는 묵묵히 저축해도 돈이 모이지 않는다. 대출을 통해 부동산 자산을 마련해도 미래를 예측하기 힘들다.

초이노믹스로 대표되는 현 정부의 경기 부양 정책은 가계부채 증가를 촉발하면서 되레 경기 부양을 위한 정부의 중장기 정책의 발목을 잡고 있다. 결국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가계부채가 늘어나는 만큼 부동산 자산이 같이 늘고 있다며 낙관론을 펴기도 한다. 금융자산과 금융부채가 같이 늘었으니 문제가 없다는 주장이다.

은퇴 후 부동산을 팔아 노후자금으로 쓸 수 있지만 부동산을 소득으로 전환시키지 못하면 결국 은퇴 후 빚만 남는 빈털터리가 된다.

‘리타이어먼트 푸어(Retirement Poor)’는 가계부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신조어다. 베이비부머 시대 ‘하우스 푸어(House Poor)’가 문제였다면, 현재는 은퇴 후 생존 대책이 없는 리타이어먼트 푸어의 시대가 열렸다.

물론, 소득을 올리면 가계부채는 해결된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일반 가계는 투자 여력이 없다. 결국 가계부채를 줄이기 위한 과제가 자본시장에 숙제로 주어졌다.

이를 위해 자본시장 유동성을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구용욱 미래에셋대우 리서치센터장은 “자본시장이 좋은 상품을 공급해도 저소득층 문제는 해결할 수 없을 것이다. 관건은 중산층”이라며 “유동화 금융상품 공급을 통해 자본시장이 가계부채를 해결하는 데 어느 정도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수익 하락에 빠진 증권업의 발전도 절실하다. 60개 증권사 중 자본금 1조 원 이상을 확보한 곳은 12개사 정도다. 큰 대형사들이 전면에 나서 수익성을 확보하고 여러 대안을 기관 및 개인 투자자에게 제안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