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형환 산업부 장관, 다보스포럼서 “4차 산업혁명 일자리 문제 극복해야”

“AI·IoT·로봇 기술 제조업 확산하고 인프라 지원·민관 파트너십” 강조… 올해 한국서 ‘제조의 미래’ 공동포럼

제47차 세계경제포럼(WEFㆍ다보스포럼)에서 참석 중인 주형환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4차 산업혁명의 기술들을 전 산업, 특히 제조업 전반으로 확산해 생산성 혁신을 이끌어내야 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규제와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일자리 대체(job displacement)’ 문제 등 제약 요인을 극복해야 한다”고 밝혔다.

주 장관은 17 ~ 19일 이틀간 스위스 다보스에서 ‘소통과 책임의 리더십(Responsive and Responsible Leadership)’을 주제로 정·재계, 학계 등 세계 정상급인사 3000여 명이 참가한 가운데 개최된 다보스포럼에 참석해 이같이 강조했다.

이사회에서 지정토론자로 나선 주 장관은 “현재 일부 산업에만 적용되고 있는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로봇 등 4차 산업혁명의 기술들을 전 산업, 특히 제조업 전반으로 확산해야 한다”면서 이를 위해 해결해야 할 2가지 핵심 제약요인으로 각종 규제와 일자리 대체(실업) 문제를 꼽았다.

규제 개혁과 관련해 주 장관은 △네거티브 방식의 과감한 규제개혁 △연구개발(R&D), 인력, 인프라 등의 집중지원 △민관 파트너십 촉진 등 3가지 주요 과제를 제시했다.

일자리 대책과 관련해서는 “4차 산업혁명이 본격화되면서 실업급여 체계, 근로자 재교육 등 기존 일자리 지원 대책도 보다 근본적으로 개선·보완하는 획기적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주 장관은 ‘제조의 미래, 지역전략 모색’ 제하 세션에서 “AI, 3D프린팅 등 기술발전 등에 따라 생산비 중 인건비 비중이 낮아지면서 선진국으로의 리쇼어링(re-shoring·해외진출 기업들의 본국 이전)이 가속화될 전망”이라며 “과거의 개도국 발전 모델이 앞으로는 지속 가능하지 않을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다보스포럼 측은 국가별 4차 산업혁명 대응역량 평가 시 한국을 사례연구 대상에 포함하고, 주 장관이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어젠다인 중소기업 분야의 챔피언(일종의 명예대사)을 맡아 향후 국제적 연구와 논의를 주도해 줄 것을 요청했다. 아울러 연내 다보스포럼 측이 직접 한국을 방문해 4차 산업혁명과 제조의 미래에 대한 공동포럼을 열기로 했다.

한편 주 장관은 몽골 대통령, 베트남 총리, 러시아 부총리, 브라질 산업통상 장관, 아르헨티나 산업부 장관, 인도 상공부 장관, 사우디 에너지산업부 장관, 미주개발은행(IDB) 총재, 아프리카개발은행(AFDB) 총재,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총재, 세계무역기구(WTO) 사무총장 등 주요국 각료 및 국제기구 수장들과의 일대일 연쇄 회동을 개최했다. 또 지멘스, 솔베이, BMW 등 글로벌 기업 CEO들과 개별 면담을 가졌다.

박엘리 기자 ellee@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