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춘·조윤선, 특검 출석… "진실 특검에서 밝혀지길 기대"

입력 2017-01-17 10:2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이 17일 오전 서울 대치동 특별검사 사무실에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있다. 고이란 기자 photoeran@
'문화계 블랙리스트'를 기획하고 작성을 지시한 혐의를 받고 있는 김기춘(78) 전 청와대 비서실장과 조윤선(51)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17일 특별검사 사무실에 출석했다.

김 전 실장은 이날 오전 9시 45분께 변호인들과 함께 특검 사무실에 모습을 드러냈다. '아직도 최순실(61) 씨 존재를 모르나', '본인 관련 의혹이 너무 많은데 증거인멸을 왜 하고 있는건가', '블랙리스트 의혹 관계자들이 줄줄이 구속되는데 한 말씀 해달라'고 묻는 취재진의 질문에는 아무 말도 하지 않겠다고 작정한 듯 입술을 굳게 다물고 조사실로 향했다.

▲조윤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17일 오전 서울 대치동 특별검사 사무실에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 취재진의 질문을 받고 있다. 고이란 기자 photoeran@
김 전 실장보다 30분 먼저 등장한 조 장관은 "오늘 특검 조사에 성실히 임하겠다. 진실이 특검 조사에서 밝혀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청문회에서 왜 블랙리스트를 본 적도 없다고 했는지', '장관 취임 후 지원배제 과정에 영향 미친 적 없는지', '김 전 실장의 지시가 있었는지' 등의 질문에는 대답하지 않았다.

두 사람은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혐의의 피의자 신분이다. 조사내용에 따라 대질신문도 가능하다. 국회 청문회에서는 의혹을 모두 부인했고, 조 장관만 계속된 추궁에 뒤늦게 블랙리스트 존재를 알게 됐다고 인정했다. 다만 "리스트를 직접 본 적도, 관여한 적도 없다"고 주장했다.

문화계 블랙리스트는 2014~2015년께 김 전 실장의 지시로 청와대 정무수석실에서 작성한 뒤 교육문화수석실을 거쳐 문화체육관광부로 전달된 것으로 전해졌다. 문화연대 등 12개 문화예술단체는 지난달 12일 '청와대가 정부에 비협조적인 문화계 인사 명단이 들어간 블랙리스트를 작성해 불이익을 줬다'며 김 전 실장과 당시 정무수석이었던 조 장관 등 9명을 특검에 고발했다. 명단에 이름을 올린 사람은 최대 1만여 명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은 현재 김종덕(60) 전 문체부 장관, 신동철(56) 전 정무비서관, 정관구(53) 전 문체부 1차관 등 3명을 직권남용 등의 혐의로 구속 수사하고 있다. 김상률(57) 전 교문수석에 대해서도 구속영장을 청구했지만, '관여 정도에 비춰 구속의 필요성을 인정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지난 12일 기각됐다.

한편 특검은 이날 오전 김영재 김영재의원 원장도 의료법 위반 등의 혐의로 불러 조사 중이다. 김 원장은 평소 최 씨와의 친분을 이용해 대통령 주치의나 자문의가 아니면서도 박근혜 대통령을 비선 진료한 의혹을 받고 있다. 김 원장은 '보안 손님' 자격으로 청와대를 드나든 것으로 전해졌다. 김 원장은 이 대가로 대통령 주치의였던 서창석 서울대병원장을 통해 서울대병원 외래교수로 위촉된 의혹도 제기된 상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