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필호 자본시장부 기자
대전환은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올해 2~3번의 금리 인상을 예고하면서 그동안의 채권 호황이 막을 내릴 것이라는 분석에 근거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답답한 행보를 보였던 국내 증시의 박스권 돌파 가능성과 함께 주식 비중을 늘릴 것을 권하고 있는 중이다.
하지만 이 같은 주장은 주의가 필요해 보인다. 증시 회복의 전제 요건부터 의문부호가 붙기 때문이다. 당장 조기 대선 가능성이 높아진 국내를 비롯해 해외 각종 정치적 이슈가 어떤 영향을 미칠지 모른다. 기업 지배구조 이슈 역시 각종 장애물이 겹겹이 쌓여 있다.
한반도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THAAD) 배치 반발에 따른 중국의 한한령(限韓令·한류콘텐츠 제한정책) 조치는 최대 리스크로 떠올랐다. 정부가 저금리를 부추긴 탓에 1300조 원에 달하는 가계부채 문제는 또 어떤가. 연착륙 탈출구를 마련하더라도 서민과 한국 경제에 미치는 피해가 우려스럽다.
물가는 천정부지로 치솟았다. 도시·국가 비교 통계 사이트 넘베오(www.numbeo.com)는 15일 한국의 과일·쌀 등 식료품 12개 항목과 도심 아파트 매매 가격이 세계 119개국 가운데 상위 10%에 속한다고 밝혔다.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원국과 비회원국 등 산유국의 감산 합의 영향으로 전국 휘발유 평균가격이 1년 3개월 만에 1500원대에 재진입했다.
현실은 아직 장밋빛 보고서는 이르다고 말한다. 채권의 하락세가 주식의 상승세를 담보한다는 식의 전개는 설득력이 떨어진다. 실제로 골드만삭스는 투자 자금이 채권에서 주식으로 대거 옮겨가는 대전환 현상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투자자 스스로의 꼼꼼한 분석과 검토가 요구되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