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파’ 현실화…강남4구 12월 거래량 지난해 대비 14% ↓

입력 2016-12-24 10: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서울 아파트 매매시장이 강남4구를 중심으로 부동산 시장 지표가 나빠지고 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22일 기준 강남4구 아파트 일평균 매매거래량은 59건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14.9% 감소했다. 반면 강남4구외 일평균 매매거래량은 193건에서 24.8% 늘어난 241건 거래가 이뤄져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이같은 거래 감소는 가격하락으로 이어졌다.

24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12월 셋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4주 연속 0.01% 하락했다. 서울 재건축 아파트값은 전주(-0.15%)보다 하락폭이 둔화된 -0.06%를 기록했지만 일반아파트는 보합을 기록했다. 신도시는 0.01% 오르고, 경기ㆍ인천은 보합을 유지했다. 강남4구 금주 아파트 매매가격도 0.03% 하락했으나 강남4구외 지역은 0.01% 소폭 상승했다.

서울의 경우 △강동(-0.15%) △중구(-0.11%) △양천(-0.07%) △강남(-0.06%) △동대문(-0.02%) △성동(-0.02%) △서초(-0.01%) 지역 매매가격이 하락했다. 강동은 둔촌주공아파트 매매가격이 1000만 원~1500만 원 하락했다. △종로(0.08%) △영등포(0.05%) △마포(0.05%) △동작(0.05%) △강서(0.04%) △송파(0.04%) 지역은 상승했다. 송파(0.04%)는 재건축 아파트 대상으로 저가 매물이 거래되면서 가격이 올랐다. 잠실동 주공5단지는 1500만~3000만 원, 가락동 극동은 1000만 원 각각 올랐다. 하지만 잠실동 레이크팰리스 중대형 면적은 최고 6500만 원 하락했다.

신도시는 △동탄(0.04%), △평촌(0.02%), △분당(0.02%), △일산(0.01%) 지역이 상승했다. △산본(-0.07%) △중동(-0.03%) △판교(-0.01%)는 하락했다.

경기ㆍ인천은 △평택(0.03%) △부천(0.03%) △수원(0.03%) 지역 매매가격이 상승했다. 반면 △광명(-0.03%) △안산(-0.03%) △안성(-0.03%) △성남(-0.02%) △하남(-0.02%) △양주(-0.02%) △화성(-0.02%) 지역이 하락했다. 광명은 철산동 주공12단지가 500만 원, 하안동 주공4단지가 500만~1250만 원 떨어졌다. 안산은 재건축 대상인 고잔동 주공5단지가 500만~1000만 원 하락했다.

전세시장은 2주 연속 서울, 신도시, 경기ㆍ인천 모두 0.02% 오르며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 연말이 가까워지면서 전세수요가 줄어든 가운데 새 아파트 입주물량이 늘어난 지역과 노후 아파트 대상으로 국지적인 가격 하락을 보였다.

서울은 △강북(0.10%) △동작(0.09%) △영등포(0.09%) △은평(0.09%) 지역 전세가격이 상승했다. 강북은 전세매물이 부족해 번동 해모로가 1000만~2500만 원 올랐다. △중구(-0.17%) △강동(-0.10%) △양천(-0.03%) △성동(-0.01%) 지역은 하락했다.

신도시는 △동탄(0.06%) △평촌(0.05%) △광교(0.03%) △일산(0.02%) △산본(0.02%) △판교(0.01%) 지역 전세가격이 상승했다. 동탄은 반송동 시범한빛한화꿈에그린이 1000만 원 올랐다.

경기ㆍ인천은 △안양(0.20%) △용인(0.04%) △고양(0.03%) △수원(0.03%) △인천(0.02%) 지역이 상승했다. 안양은 지난 10월부터 입주를 시작한 래미안안양메가트리아가 저가 전세매물이 소진되면서 일부 가구는 1500만 원 상당 올랐다. △광명(-0.12%) △양주(-0.08%) △부천(-0.03%) △평택(-0.01%) 지역이 하락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