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금리 상승에 따른 부동산시장 부진이 예상되자 투자자들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매물이 많은 공매 시장으로 몰려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에 따르면 온비드 압류재산 공매 물량이 월간 1조 원에 육박했다. 전달인 11월 6274억 원에서 12월 들어 9998억 원으로 급증했다. 가을 이사철 성수기였던 10월 실적인 1조964억 원과 비교해도 빠른 속도다.
이에 따라 공매 투자시장 규모도 연간 기준 10조 원을 넘어섰다. 지난해 공매물건 낙찰가율은 75.9%로 감정가보다 평균 25%가량 낮았다. 국세물납 비상장증권과 같은 동산도 있지만 주택ㆍ토지 등 부동산이 대부분이다. 감정가 3억4800만 원인 서울시 광진구 소재 116㎡(35평형) 아파트가 1억3920만 원으로 60%나 가격이 내려 낙찰됐다.
공매란 국세징수법에 의거, 세무서 등이 체납자의 재산을 압류한 뒤 체납세금을 징수하기 위해 캠코에 대행을 의뢰한 물건을 경쟁 입찰 방식으로 매각하는 것을 뜻한다. 전형적인 방법이 민사상 강제집행에 의한 경매인데, 최근 경매 시장이 지나치게 과열된 데다 대금 분할납부 및 수의계약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커 공매가 각광받고 있다.
캠코의 한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공매 시장에 투자자들이 몰릴 때는 경기가 정체될 때”라고 말했다.
이 같은 분위기는 예비 투자자가 몰린 캠코 주최 공매 투자 아카데미에서도 감지되고 있다. 허은영 캠코 이사는 “온비드에 대한 높은 관심과 참여에 힘입어 올해 한 해 전국 9개 지역에서 공매 투자 아카데미를 개최했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온라인으로 입찰하는 까닭에 현장 조사는 필수라고 조언한다.
특히 감정가 대비 매각 예정가가 40~50%대에 불과한 공매물건의 경우에는 경매에 비해 권리단계 직접 조사가 중요하다. 또 경매처럼 인도명령 제도가 없어 시간과 비용이 추가로 들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고 지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