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고효율ㆍ친환경 발전용 연료전지 생산공장 착공

입력 2007-10-16 12:2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2010년 총 연산 100MW 생산능력 확충...2012년 매출액 4000억원 예상

포스코가 차세대 고효율ㆍ친환경에너지인 발전용 연료전지 생산공장을 착공했다.

포스코는 16일 포항 영일만 배후산업단지에서 포스코 이구택회장, 김관용 경북도지사, 오영호 산자부차관, 이상득의원, 이병석의원, 박승호 포항시장 등 정부기관, 제휴사 관계자 및 지역주민 3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발전용 연료전지 생산공장 착공식을 가졌다.

포스코는 발전자회사인 포스코파워를 통해 오는 2010년까지 2단계에 걸쳐 약 1200억 원을 투자해 6만여 평의 부지에 연산 100MW의 연료전지 생산능력을 갖출 계획이다.

금번 착공은 1단계로 연산 50MW 규모의 발전용 연료전지 생산공장 및 테스트시설 등을 내년 8월까지 준공하게 되면 세계최초로 발전용 연료전지 제품을 양산하게 된다.

포스코는 또한 발전용 연료전지 분야가 산업화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고 이에 따른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2010년까지 2단계로 연산 50MW 규모의 생산공장을 추가로 증설할 계획이다.

더불어 연료전지 핵심설비인 ‘스택’의 국산화 기술개발을 전담할 연구소도 건립한다.

이구택 포스코 회장은 “연료전지 사업은 세계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자원고갈과 지구온난화 문제에 대처하는 데도 매우 중요한 사업으로서 장기간에 걸친 기술개발 노력과 투자가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연료전지는 수소와 산소가 가지고 있는 화학에너지를 전기화학 반응에 의하여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고효율의 친환경 발전시스템이다.

현재 연료전지는 기존의 석탄ㆍ석유 등 화석에너지 체제의 한계를 극복할 미래의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이산화탄소, 질소산화물, 황산화물이 거의 발생되지 않아 지구온난화 등 환경문제를 야기시키지 않는 차세대 신재생에너지로 각광 받고 있다.

또한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의 정부와 기업들이 상용화에 힘쓰고 있으며, 우리 정부도 연료전지를 ‘10대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으로 선정, 적극 육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포스코도 지난 2003년부터 RIST (포항산업 과학 연구원), 포스텍 등과 함께 발전용 연료전지사업의 독자적인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 노력해 오고 있다.

포스코는 국책과제를 통해 지난 2005년 4월부터 2006년 4월까지 FCE(FuelCell Energy Inc.)사의 발전용 연료전지를 서울 탄천하수처리장, 광주 조선대학교 병원, RIST 등 3곳에 설치, 실험 가동하여 사업성을 검증했고, 작년 11월에는 국내최초로 남동발전에 상업용 발전용 연료전지 1기를 공급했다.

또한, 포스코는 지난 8월, 한국전력공사와 발전용 연료전지의 제조 및 판매, 연구개발, 시장 확대 및 정보교류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하는 등 발전용 연료전지의 사업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포스코는 사업성과가 가시화될 시점인 2012년에 연료전지로 인한 매출액을 4,000억 원 정도로 기대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