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부회장 삼성 전경련 탈퇴 시사… 전경련 역할 축소 불가피

입력 2016-12-06 13:56수정 2016-12-06 15:2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개인적 활동, 기부금 출연 안해”… 선대 회장이 만든 전경련, 3대에서 관계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전국경제인연합회 활동을 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더불어 기부금도 중단한다고 밝혔다. 재계 1위 삼성의 이탈이 현실화되면, 전경련은 해체 못지않게 위상과 역할이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를 규명하기 위한 국정조사특별위원회 1차 청문회에서 앞으로 전경련에 기부금을 내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날 하태경 새누리당 의원은 “80년대 정경유착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며 “그 매개물인 전경련을 해체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재용 증인은 전경련 해체에 앞장서고 새로운 경제를 만드는 데 앞장 서겠다고 확고한 의지를 보여 달라”면서 “삼성이 전경련에 기부금 내는 거 중지하겠다고 말씀하라”고 강조했다. 이에 이 부회장은 “그러겠다”고 답했다.

또한 이 부회장은 박범계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삼성은 전경련의 가장 큰 회원사다. 전경련 해체에 동의하냐”는 질문에 대해서도 “전경련 자체에 대해서는 뭐라 말씀드릴 자격이 없지만, 개인적으로는 전경련 활동을 하지 않겠다”고 답변했다.

이 부회장이 삼성의 전경련 활동과 기부금 중지 입장을 밝힌 것은 삼성의 전경련 탈퇴를 사실상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전경련의 회원사는 회비를 내야 하는데 이를 내지 않는다는 것은 전경련을 탈퇴한다는 의미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전경련은 지난 1961년 자유시장경제의 창달과 건전한 국민 경제의 발전을 위하여 올바른 경제정책을 구현하고 우리 경제의 국제화를 촉진하기 위해 설립된 경제재건촉진회가 전신이다. 초대 회장은 고(故) 이병철 삼성그룹 선대 회장으로, 1961~1962년까지 맡았다.

그러나 최근 최순실 씨의 국정 농단 사건과 연루되면서 전경련의 역할 변화, 해체론 등이 요구되고 있다. 허창수 전경련 회장은 “해체가 제 맘대로 되는 게 아니고 혼자 생각할 수 있는 게 아니다”라며 해체에 대한 의견을 밝히기를 꺼렸지만, 이 부회장의 입장 표명으로 전경련의 역할에는 분명한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삼성의 전경련 탈퇴가 현실화될 경우, 전경련의 역할 축소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삼성의 결정은 다른 회원사의 이탈을 가속화시킬 수도 있는 만큼, 전경련의 위상은 예전과 같지 않을 전망이다. 여기에 최근 부각되고 있는 전경련 해체론도 더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재계 한 관계자는 “전경련의 최대 회원사인 삼성이 만약 전경련을 탈퇴한다면 다른 그룹사들이 전경련 탈퇴를 할 가능성도 있고, 전경련이 자발적으로 해체하지 않더라도 예전만큼의 위상이 있을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