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내년부터 어린이집·복지시설 '공공급식' 추진

입력 2016-11-29 11:24수정 2016-11-29 15:3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내년 8개 자치구 공공급식센터 설치…2019년 전체 확대

서울시가 경상남ㆍ북도, 전라남ㆍ북도 등 전국 9개 광역지자체와 손잡고 도농상생 기반의 친환경 식재료 공공조달 시스템을 내년 전국 최초로 구축한다. 우선 내년 자치구 8곳에 이를 위한 공공급식센터를 설치하고 2019년까지 전 자치구에 센터 설치를 마친다.

서울시는 이런 내용의 '도농 상생 기반 친환경 식재료 공공조달 시스템'을 전국 최초로 구축한다고 29일 밝혔다.

이 사업은 어린이집이나 지역아동센터, 복지시설은 영유아, 어르신, 장애인 등 사회적 배려 대상이 이용하는 시설이지만 급식 재료를 개별 구매하고 있어 식재료 비용이 많이 들면서도 급식의 질을 높이기 어렵다는 문제의식에서 추진됐다.

시가 지원하는 공공급식센터는 산지에서 직접 농·축·수산물 식재료를 공급받아 안전성을 확인한 뒤 이를 시설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친환경 급식을 위해 생산·유통·소비 등 3단계마다 안전성을 확인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센터에서는 잔류농약, 방사능, 유전자조작식품(GMO) 등 검사를 철저히 한다. 현장 점검과 학부모 모니터링, 부적합 식재료 제재 등 대책을 마련했다.

우선 내년 희망하는 8개 구에 센터를 설치하고 농산물 공급 체계를 갖춘다. 2018년에는 센터 설치 구를 15곳으로 확대하고 축산물과 수산물 공급 체계도 갖춘다. 2019년에는 전 자치구에 가공식품을 포함한 모든 식품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친환경 농산물 비율은 내년 40%에서 2018년 55%, 2019년 70%로 늘려나간다. 시는 이를 위해 내년 57억 원의 예산을 먼저 투입하고, 2020년까지 시비와 구비를 합해 총 817억 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시는 이런 직거래 시스템을 통해 기존 5∼7단계의 유통구조가 공공급식센터 한 곳으로 단순화돼 안전한 먹거리를 저렴한 가격에 공급받게 될 것으로 기대했다. 서울에 있는 어린이집, 지역아동센터, 복지시설은 총 7338곳, 이용 인원은 29만9526명이다. 평균 식단가는 2298∼4146원으로 다양하다.

시는 30일 서울시청에서 식재료 산지인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등 9개 도와 '도농 상생 공공급식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는다.

김용복 서울시 평생교육정책관은 "초중고 학교급식에 이어 어린이집과 지역아동센터, 복지시설 등 공공급식 분야로 친환경 식재료 공급을 확대해 전 세대와 계층이 건강한 먹거리를 접하도록 하고 지역 농민에겐 안정적인 판로를 보장해 농촌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