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대한민국 대표기업의 정문 앞 풍경

입력 2016-11-29 11:1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김희진 산업1부 기자

강남역 한복판에 있는 삼성 서초사옥 앞에서는 1년 365일 농성이 벌어지고 있다. 삼성전자 반도체 직업병과 관련한 노숙 농성이 계속되고 있고, 과천철거민대책위원회는 확성기 시위를 벌이고 있다.

현대자동차그룹 양재사옥도 비슷한 풍경이다. 현대차 협력사인 유성기업 노동자들은 정문 앞 대로변에 천막을 치고 장기 농성 중이다. 소음과 거리 점령으로 주위에 불편을 주긴 하지만, 이들은 거리로 나와 기업을 향해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우리나라 대표 기업의 정문 앞에서 볼 수 있는 이러한 갈등 상황은 성장 일변도의 기업 경영이 낳은 부작용의 단면 중 일부다. 고도 성장을 추구했던 산업화 시대에는 수면 밑에 묻혀 있었던 이슈들이 이제는 경제적으로, 사회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로 떠오른 것이다.

최근 대기업을 옥죄고 있는 ‘최순실 게이트’도 마찬가지다. 1970~80년대 정부는 공공연히 기업의 조력자이자 심판자임을 자처하며 이런저런 명목으로 돈을 거뒀다. 이에 따르지 않을 경우 검찰, 국세청 등 권력기관을 앞세워 직간접적으로 불이익을 줬다. 심지어 공룡 같았던 그룹이 하루아침에 해체되는 경우도 있었다.

최순실 게이트가 국민적 지탄을 받는 건 21세기임에도 불구하고 과거에나 있을 법한 ‘조폭적 발상’을 휘둘렀기 때문이다. 기업도 기술은 첨단을 달리고 있을지 몰라도 경영적 판단은 과거에 머물렀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렵다. 그렇다 보니 경영권 승계나 총수 사면 같은 ‘민원’을 가진 기업들이 최순실 게이트의 먹잇감이 된 것이다.

정부나 기업은 모두에게 충격을 준 이번 사태를 과거의 고리를 끊어낼 계기로 삼아야 한다. 정부의 기업관도, 기업의 경영관도 시대에 걸맞게 탈바꿈해야 한다. 한 번의 판단 착오가 생존을 좌우하는 극한 경영환경 속에서 재벌로 남느냐, 글로벌 퍼스트 무버로 도약하느냐의 기로에 서 있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