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 내년도 인력감축 태풍…생산직 5000명 감축 추진

입력 2016-11-28 11:09수정 2016-11-28 15:1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올 2000명 추가 감축 불구 조선업황 개선 기대 어려워

최근 생존을 위해 비조선 부문의 분사를 결정한 현대중공업이 내년에도 대규모 인력 구조조정을 추진한다. 올 한 해 최악의 수주난에 따른 물량 감소로 희망퇴직을 통해 2000명의 추가 감원을 단행했지만, 내년에도 조선업황이 ‘수주 가뭄’ 해갈에는 턱없이 미흡한 수준으로 자체 판단했기 때문이다.

28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현대중공업은 비조선업 분사와 일부 조선소 도크 폐쇄, 해양플랜트 부문 사업 축소 등의 여파로 내년도 사업계획에 생산직을 중심으로 한 5000명 규모의 인력 구조조정 방안을 포함한다. 앞서 1조4000억 원 규모의 천문학적 손실을 기록한 해양플랜트 부실에 따른 1차 구조조정 이후, 수주 절벽으로 인한 2차 구조조정을 본격적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현대중공업은 지난 5월 창사 44년 만에 처음으로 생산직 희망퇴직을 실시한 데 이어, 기장(과장급) 이상이었던 대상을 기원(대리급) 이하로 넓혀 인력 구조조정의 고삐를 당겼다. 현대삼호중공업, 현대미포조선 등 5개 조선 계열사에서 2000여 명이 신청했으며 이 중 1660명(사무직 1170명, 생산직 490명)이 회사를 떠났다.

내년에는 생산직 직원들을 대상으로 인력 감축을 더 강하게 추진한다. 올해 구조조정한 2000여 명은 대부분 사무직이었다. 그러나 내년에는 선박 수주 가뭄 현상이 더욱 심각해질 만큼, 최악의 시나리오를 대비하는 컨틴전시플랜(비상계획)에 맞춰 생산 인력 감축에 돌입한다. 우선 내년 4월부터 비조선업 분사에 따라 약 20%에 달하는 현대중공업 직영인력이 감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 해양플랜트부문에서 대규모 인력 이탈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현대중공업은 2014년 11월 해상플랫폼 1기를 수주한 후, 2년 가까이 일감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 건조 중인 해양플랜트는 6기로, 내년 7월이면 공사가 끝난다. 당장 내년 하반기부터 해양프랜트 인력 절반이 일손을 놓아야 하는 상황이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수주 가뭄으로 가시권에 들어온 도크 폐쇄가 인력 감축에 직결된 것”이라면서 “수주 절벽 위기로 인해 내년도 인력 구조조정 규모는 예상보다 클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