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랩, “온라인 이슈 게시물 통한 악성코드 유포 조심하세요”

입력 2016-11-16 09:3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최근 사회적 이슈에 관한 온라인 커뮤니티 게시물을 클릭할 때 주의가 필요하다.

안랩은 최근 다수의 국내 유명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사회적 이슈를 악용한 ‘파밍’ 악성코드 유포사례가 발견됨에 따라 사용자의 주의가 필요하다고 16일 밝혔다. 파밍(pharming)은 악성코드에 감염된 PC를 조작해 이용자가 포털, 금융회사 등 정상적인 홈페이지로 접속해도 피싱사이트로 유도해 개인‧금융정보 등을 몰래 빼가는 수법을 뜻하는 용어다.

안랩에 따르면 공격자는 사회적 이슈를 주제로, 악성 URL을 포함한 게시물을 유머, 주부, 스포츠 커뮤니티 등 국내 유명 온라인 커뮤니티에 게시해왔다. 사용자가 본문에 포함된 ‘출처’ URL을 클릭하면, 공격자가 미리 제작한 악성코드 유포 웹사이트로 이동해 ‘드라이브 바이 다운로드(Drive-by-download)’ 방식으로 악성코드에 감염된다. 드라이브 바이 다운로드 방식이란 SW취약점 보안 패치가 되지 않은 PC에서 공격자가 미리 제작ㆍ해킹한 웹사이트를 방문하면 자동으로 악성코드에 감염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후 감염된 PC로 인터넷에 접속하면 공공기관을 사칭해 ‘전자금융 사기를 예방하라’는 안내페이지를 띄우고, 가짜 은행사이트로 사용자를 유도해 금융정보 탈취를 시도하는 수법이다.

안랩 V3 제품군은 해당 악성코드를 진단하고 있으며, 현재 악성코드 유포 웹사이트는 접속되지 않고 있다.

박태환 안랩 ASEC대응팀 팀장은 “사회적 이슈를 악용하는 것은 공격자들의 단골수법으로 유사 사건이 언제든 재발할 수 있다”며 “공격자는 보안 패치가 취약한 사용자를 노리는 경우가 많으므로 백신 실시간 감시 외에도 사용하는 PC 내 SW 보안패치를 제때 적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