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로봇산업 발전방안 발표 ...휴머노이드로봇 연구센터 KAIST 설치
정부가 5년간 5000억 원을 투입해 첨단로봇 상용화 연구센터를 세우고 로봇 시스템 설계기술을 개발한다. 내년부터 로봇산업 발전을 위한 세부 투자전략을 담은 중장기 로드맵이 2~3년 단위로 제시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5일 정만기 1차관 주재로 '로봇산업정책 협의회'를 열고 관계부처 합동으로 이같은 내용을 담은 '로봇산업 발전방안'을 확정ㆍ발표했다.
로봇산업 발전방안은 신산업 민관협의회에서 12월 발표 예정인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대응방향'의 하나로 추진됐다. 우선 정부는 로봇산업에 향후 5년간 5000억원 규모의 투자계획을 구체화했다.
세부적인 투자 계획을 보면 △로봇 시스템설계기술 등 핵심기술개발 지원(3500억원) △첨단로봇 상용화연구센터(1000억원) △서비스로봇 공공수요 발굴과 보급ㆍ확산(240억원) △휴머노이드로봇 연구센터(150억원) 등이다.
정부는 의료ㆍ재활, 무인이송, 소셜, 사회안전 등 4대 유망 품목에 대해서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2020년까지 80개 공공 프로젝트를 발굴해 추진키로 했다.
정부는 2017년에 병원 내 물류수요에 이송로봇 적용, 국립재활원과 보훈병원에 재활로봇 보급 등을 우선 추진한다. 2018년에는 소셜로봇(우체국), 수술로봇 등으로 확대하고 시범적용 결과를 바탕으로 2020년 이후 본격 확산한다는 계획이다.
로봇 시장 창출을 촉진하기 위해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로봇활용을 권고할 수 있도록 지능형로봇 개발 및 보급 촉진법 개정도 추진한다.
또 인간형로봇 분야에서 세계 선도 기술을 확보하고 전문 연구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휴머노이드로봇 연구센터를 12월에 KAIST에 설치한다.
정부는 연구센터를 통해 고속ㆍ고출력 인간형로봇 플래폼과 보행ㆍ조작 성능 고도화를 위한 요소기술과 핵심부품 등을 개발하고 석박사급 연구인력 100명도 양성할 계획이다.
정부는 연구자들이 자유롭게 연구할 수 있도록 연 1억~3억원의 연구비를 5년간 지원하는 프로그램도 도입한다.
지원과제 선정과 성과평가시에도 풀뿌리연구 성격에 맞게 혁신성, 창의성에 중점을 둔 절차와 기준을 마련할 계획이다.
국가차원의 체계적인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해 산학 연관 합동으로 로드맵도 수립한다. 2~3년 단위 롤링플랜을 통해 로봇분야 기술개발 추진방향과 분야별 투자전략을 중장기적으로 제시할 계획이다.
과학기술연구원(KIST), 로봇융합연구원(KIRO) 등 6대 로봇연구기관의 주도로 학계와 산업계가 광범위하게 참여하는 ‘로드맵 수립 위원회’를 구성해 내년 2월까지 로드맵을 수립, 발표하기로 했다.
정만기 산업부 1차관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4차 산업혁명에 따라 미래 먹거리 신산업이자 주력산업 고도화의 핵심요소로서 로봇산업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며 “우리 로봇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