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교수들 시국선언, “대통령 퇴진운동 등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다할 것”

입력 2016-11-07 15:0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서울대학교 교수 700여명이 ‘최순실 게이트’를 규탄하는 대학가 시국선언 대열에 7일 동참했다.

서울대 교수들은 이날 오전 교내 아시아연구소 삼익홀에서 '헌정 유린 사태를 염려하는 서울대 교수 일동'의 명의로 박 대통령이 국정에서 물러나야 한다는 내용의 시국선언문을 발표했다.

이번 시국선언에는 728명의 교수가 참여했다. 서울대 교수진이 2100명 정도임을 감안하면 대략 3분의 1 가량의 교수가 참여한 셈이다.

서울대 교수들은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박 대통령은 헌정질서를 수호할 자격을 상실한 피의자이므로 국정에서 물러나 철저한 수사를 받아야 한다”며 “대통령 퇴진운동을 포함하여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을 다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시국선언문을 통해 △박 대통령은 지금의 헌정 유린 사태를 특정 개인들의 책임으로 돌려선 안 되며 모든 국정에서 당장 물러날 것 △국정에서 물러나며 헌정 질서 파괴와 각종 부정 비리에 대한 철저한 수사를 약속할 것 △헌정 파괴에 적극적으로 동참한 새누리당 지도부는 총사퇴하고, 야당도 숨김없는 진상규명 노력으로 민주주의 수호에 헌신할 것 △국회의 국민적 합의를 통한 근본적인 검찰 개혁 방안을 마련해 검찰의 신뢰를 회복할 것 등을 요구했다.

이들은 4일에 있었던 대통령 담화에 대해서도 “엄중한 헌정 위기를 어물쩍 넘어가려는 미봉책”이라고 평했다. 기자회견 후 교수들은 교내 4·19 추모비까지 함께 행진했다.

서울대 교수들의 시국선언은 지난달 말부터 준비됐으나 실제 발표까지는 열흘 가랑이 걸려 다른 대학의 시국선언보다 다소 늦어졌다. 이에 대해 조흥식 교수협의회장은 “가습기 살균제 사건, 고 백남기 농민 사망진단서와 관련해 서울대 교수로서 성찰의 시간이 필요했다”며 “많은 교수들이 함께 연대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에서 늦어졌다”고 설명했다.

서울대 교수들이 시국선언을 한 것은 2015년 1월 ‘정윤회 문건’ 논란으로 청와대의 인적 쇄신과 내각 개편을 요구하고 나선 지 1년 10개월 만이다. 서울대 교수들은 2014년 5월 세월호 사건 진상규명을 촉구하는 내용으로, 2013년 7월에는 국가정보원의 선거개입을 규탄하고 진상 조사를 요구하는 내용으로 각각 시국선언을 한 바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