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기아차, 수입차 반등에 '내수점유율 60% 붕괴'…그룹 출범 후 최저치

입력 2016-11-04 13:57수정 2016-11-04 13:5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노조 파업ㆍ태풍 침수 생산차질ㆍ품질논란…지난달 내수 점유율 59.2%

▲현대·기아차, 서울 양재동 사옥. 사진=현대차 제공.

현대·기아자동차의 지난달 내수시장 점유율 60%선이 무너졌다. 노조 파업과 태풍 침수에 따른 생산차질, 리콜 이슈에 따른 품질논란 등으로 지난 2000년 그룹 출범 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4일 국내 완성차 5개사와 수입차 판매 실적을 종합한 결과, 지난달 현대ㆍ기아차 판매 점유율은 59.2%로 집계됐다. 지난 9월 대비 3.2%포인트 하락했다. 지난달 국내 자동차 판매대수는 국산차 12만7466대, 수입차 2만612대 등 총 14만8078대로 집계됐다.

지난달 국내 자동차 시장 규모는 수입차가 전년 동기 대비 18.3% 성장한 반면, 국산차는 13.3% 축소되면서 전체적으로는 10% 줄었다. 내수점유율은 국산차와 수입차가 각각 86.1%, 13.9%로 나타났다.

무엇보다 현대·기아차의 월간 점유율이 그룹 출범 이후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현대·기아차의 지난달 내수점유율은 58.9%로 집계돼 종전 최저 점유율이었던 지난 9월의 62.1%에서 한달 사이 60% 벽이 붕괴됐다.

한국GM과 르노삼성, 쌍용차는 지난달 합산 26.6%의 점유율을 달성하며 올 들어 최고 비중을 나타냈다. 회사별로 △한국GM 11.3% △르노삼성 9.0% △쌍용차 6.4%로 집계됐다. 지난 1월 세 회사의 합산 내수점유율이 14.5%인 점을 감안하면 대폭 확대된 것이다.

수입차 시장은 5개월 만에 판매 부진을 털어냈다. 메르세데스-벤츠와 BMW가 1만1800대를 신규 등록해 전체 신규 등록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또 도요타와 혼다, 닛산 등 일본차 성장이 눈에 띄었다. 지난달 수입차 신규등록 대수가 지난해 같은달 1만7423대보다 18.3% 증가한 2만612대로 집계됐다. 전월대비는 22.9% 증가한 2만612대로 집계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